earticle

논문검색

방과후 체육활동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on Blood Lipids, Sex Hormone and Growth Hormone in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하민성, 김지현, 김도연, 김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on blood lipids, sex hormone and growth hormone in obese elementary school male students. 56 school mal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obesity children with exercise group (EG, n=29) and control group (CG, n=27). The exercis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50~80%HRR POLAR), the frequency (3 times per week, 50 minutes per session) was performed for 12 weeks has been conducted once a week.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d ANOVA, and the alpha level of p<.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The T-C, TG and LDL-C in time*group(interaction)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1, p<.05, p<.01). The HDL-C in time and time*group(interaction)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5, p<.01). The GH(Growth Hormone) in group has been significantly difference(p<.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improve blood lipids, sexhormone, growth hormone in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t can be an effective mea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e children by taking regular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t the schoo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가하는 방과후 체육활동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비만 남자 초등학생 56명을 선정하여 방과후 체육실시군 29명, 통제군 27명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운동강도는 적응단계, 심화단계 응용단계 및 지속적인 운동습관 기르기로 분류하고, POLAR를 통한 심박수 변화량을 측정하여 50∼80%HRR, 운동빈도는 주 3회, 1회 50분, 12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방과후 체육활동 실험 전·후 및 집단 간 변화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 TG 및 LDL-C가 시기*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p<.05, p<.01), HDL-C가 시기 및 시기*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p<.01). 성호르몬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호르몬은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비만아동의 혈중지질 개선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현장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며 비만아동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항목 및 방법
  3. 자료 처리
 Ⅲ. 연구 결과
  1. 혈중지질
  2. 성호르몬
  3. 성장호르몬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하민성 Ha, Min-Seong. 부산대학교
  • 김지현 Kim, Ji-Hyeon. 부산대학교
  • 김도연 Kim, Do-Yeon. 부산대학교
  • 김종원 Kim, Jong-Won. 부산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