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육교육실기 수업구조 변화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과 의미

원문정보

Pre-school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nd significance on the structural chang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임명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chool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nd significance on the structural chang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of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and study participants’ physical education diary.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suggested by Spradley(1979)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formation of integrated goals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the awkwardness and joy of the experience and establishi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in the cours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cours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as the details of experience.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deduc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such as building self-confidence in conducting a physical education class, developing a teaching perspective to teach a student, and setting the standard for ‘good class.’ In the discussion,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educational experience and significance and growth and change through the cours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in relation to precedent studies, and presented a scheme of running a cours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eing the experience and significance of course of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and designing a scheme of conducting the integrated practical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에서 운영된 체육교육실기 수업구조 변화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와 연구참여자의 체육일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체육교육실기 강좌를 통해 ‘이해’의 과정에서 통합적 목표의 형성, ‘체험’의 과정에 대한 어색함과 반가움, ‘소통’의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체육교육실기 강좌를 통해 체육수업 운영의 자신감 형성, 학생을 가르치는 교수관 형성 그리고 ‘좋은 수업’에 대한 기준을 형성 하는 등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논의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교육적 경험과 의미 그리고 체육실기 강좌를 통한 성장과 변화를 선행연구와의 관계성 속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으며 향후 체육교육실기 강좌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대학의 체육교육실기 강좌의 경험과 의미를 교육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통합적인 체육교육실기 운영 방안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및 진실성
 Ⅲ. 연구 결과
  1. 체육교육실기 강좌의 경험 이야기
  2. 체육교육실기 강좌의 교육적 의미
 Ⅳ. 논의 및 제언
  1. 학습자 측면의 교육적 경험과 의미: 실기수업 문화의 통합성 추구
  2. 체육실기 강좌를 통한 성장과 변화: 체육을 바라보는 관점의 형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명재 Lim, Myoung-Jae.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