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in the Landscape Master Plan of City and County - Focused on 22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Korea -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establishment status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master plan of 22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Korea. The landscape master plans have been established in 19 cities and counties and among them they were established in 11 cities and counties before 2010. They tend to be made in city governments earlier than county governments. Community visions are implied with four meanings, 'landscape·ecological', 'administrative·economic', 'historical·cultural', 'abstraction·sensitive' in expression. For setting zones, axises, and bases of landscapes,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cape zone are emphasized with unification and connectivity of axises and bases of landscapes as one unit to local governments. Proposal of design principle or guideline of landscape by elements tend to be higher than landscape types.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have influenced to landscap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s have been strongly reflected in landscape plan in particular.
한국어
본 연구는 전라남도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경관기본계획의 수립현황을 파악하고, 기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기본계획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전라남도 22개의 시·군에 있어서 경관계획이 수립된 지자체는 19개로서 2010년 이전에 경관계획이 수립된 지자체는 9개로 나타났으며, 시단위가 군단위보다는 일찍 경관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계획 보고서에서 제시한 각 지자체의 미래상의 표현 내용은 「경관·생태」, 「행정·경제」, 「역사·문화」, 「추상·감각」측면 순으로 강조되고 있으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관권역, 경관축, 경관거점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지자체를 하나의 경관단위로서, 각각의 경관권역별로 특성을 강조하면서 경관축과 경관거점으로는 통일성과 연관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경관설계지침 또는 경관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있어서는 경관유형별로 작성하기 보다는 경관요소별로 작성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관유형은 경관의 구조적 형태인 경관특성이라는 좀더 공간적 범위가 크게 설정되지만, 경관요소는 구체적인 대상물을 선정하거나 구체화되는 표현양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자체의 입지적 특성이 경관유형을 설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지역의 자연환경적 특성을 경관계획 수립에 반영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와 방법
2. 경관관리 계획의 변천 및 수립현황
2.1 경관관리 계획의 변천과정
2.2 전라남도 경관기본계획 수립
3. 전라남도 시·군 경관계획 특성
3.1 경관계획의 수립 현황
3.2 경관계획의 구성 특성
3.3 미래상 설정
3.4 경관권역, 경관축, 경관거점의 관계성
3.5 경관유형 및 경관요소의 분류체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전라남도, 전라남도경관기본계획, 2015.
- 2국토해양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토경관향상을 위한 경관법개정의 방향, 공청회 자료, 2010.
- 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of a Small Town Landscape Guideline -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Establishing the Basic Landscape Plan -earticle 원문 이동
- 4방재성·양병이,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유형 분류기준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지, 37(2), 2009. pp.78-89.
- 5백승권·진영기·김제환, 우리나라 경관계획의 발전과정과 미래상, 유신기술회보, 18, 2011. pp.21-48.
- 6유완종, 지속가능한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국제심포지엄-도시경관기본계획 수립 모색 및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 7An Classification of the Landscape Types and Control Factors in the Plan and Regulations네이버 원문 이동
- 8An Analysis o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9Analysis of guidelines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