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선형 편집 입문자를 위한 RPT 학습모형 절차 설계 및 평가

원문정보

The Procedural Design and Evaluation of RPT Learning Model for NLE Beginners

장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days, the Non-Linear Editing is mainly used in the field of broadcasting.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editing, Non-Linear Editing can immediately access the image of the desired position and facilitate the insertion and deletion of video frame. Furthermore, it directly apply a title and transition effect to video frame. Moreover, it has an advantage of preview and easy modification in title effect, transition and editing prior to export. However, students who learn Non-Linear Editing first time are not easy to learn i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earning model based on Reciprocal Peer Teaching (RPT), which helps NLE beginners to understand Non-Linear editing more clearly. We divide the students into two groups i.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students do not apply proposed method while experimental group performs evaluation over our model. Furthermore, we carry out the experiments, which include the overall average of the two groups,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low grades,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satisfaction surveys.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e superiority in performed experiments and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an the control group.

한국어

최근 방송영상분야에서 영상편집 방법으로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ing; NLE)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선형편집에 비해 비선형편집은 컷(Cut)의 삽입과 삭제가 용이하고, 영상편집 시 원하는 위치의 영상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타이틀과 효과, 장면전환 효과를 적용할 수 있고 출력 전에 미리보기를 통해 적용한 타이틀과 효과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NLE편집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그것을 배우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편집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존의 상호동료교수법(Reciprocal Peer Tutoring; RPT)를 보완한 새로운 RPT 학습모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는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한다. 두 집단의 전체 평균, 성적 하위 집단의 학업 성취도, 표준편차, T검정과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를 실시한다. 제안하는 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지표와 만족도에서 우월함을 보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호 동료 교수법
  2. 소셜네트워크 활용
 Ⅲ. 연구 방법
  1. 적용 대상 및 환경
  2. 적용 준비
  3. 적용 단계
 Ⅳ. 학습모형 개발
  1. 주차별 학습모형 설계
  2. 교수자-학습자 짝 선정 방법과 역할
  3. 수업 중 학습모형 설계
  4. 수업 외 시간의 학습모형 설계
 Ⅴ. 학습모형 적용 및 평가
  1. 실험집단
  2. 모형 적용
  3. 평균값 비교
  4. 점수 구간별 학생 수 분포
  5. t-검정
  6. 만족도 조사 결과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경수 Kyeong-Su Jang. 정회원, 경인여자대학교 영상방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