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후변화를 고려한 안성천 유역의 미래 물 부족량 평가

원문정보

Evaluation of Future Water Deficit for Anseong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이대웅, 정재원, 홍승진, 한대건, 주홍준, 김형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on Earth has increased by about 0.85℃ since 1880 due to the global warming. The temperature increase affects hydrologic phenomenon and so the world has been suffered from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Therefore, especially, in the aspect of water deficit, we may require the accurate prediction of water demand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climate in order to establish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to ensure safe water supply for the future. To do this, the study evaluated future water balance and water deficit under the climate change for Anseong river basin in Korea. The future rainfall was simulated using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and the runoff was estimated through the SLURP model which is a semi-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the basin. Scenario and network for the water balance analysis in sub-basins of Anseong river basin were established through K-WEAP model. And the water demand for the future was estimated by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using amounts of water uses(domestic water use, industrial water use, and agricultural water use) calculated by historical data (1965 to 2011). As the result of water balance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domestic and industrial water uses will be increased in the future because of population growth,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However, the agricultural water use will be gradually decreased. Totally, we had shown that the water deficit problem will be critical in the future in Anseong river basin. Therefore, as the case study, we suggested two alternatives of pumping station construction and restriction of water use for solving the water deficit problem in the basin.

한국어

지구온난화에 의해 지구의 평균 기온은 1880년 이후로 약 0.85℃ 상승하였다. 이는 수문현상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전 세계는 홍수 및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수자원 계획 수립을 위해 특히 물 부족 측면에서 기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물 수요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미래 물수지 및 물 부족량을 평가하였다.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강수량을 모의하였고, 준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SLURP 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추정하였다. K-WEAP 모형을 통해 안성천 유역 소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또한 1965-2011년간 과거 자료로부터 계산된 용수이용량(생활, 공업, 농업용수)을 활용한 선형예측함수식을 통해 장래 물 수요 추정량을 산정하였다. 물 수지 분석 결과, 인구 증가, 급격한 도시화 및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로 인해 생활 및 공업용수 이용량은 증가하고, 반면 농업용수 이용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안성천유역에서 미래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역 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례 연구로서 광역상수도 확충 및 제한급수의 두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성 및 모형의 개요
  2.1 기후변화 시나리오
  2.2 기후변화 분석을 위한 장기유출 모형 선정
  2.3 물 수지 분석을 위한 모형의 선정
 3. 대상유역 특성 및 입력자료 구축
  3.1 안성천 유역의 일반현황
  3.2 SLURP 모형의 구축 및 적용 결과
 4.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 수지 분석 및물 부족량 평가
  4.1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 수지 시나리오 생성
  4.2 물 부족 평가를 위한 하천 유입량 및 용수이용량 산정
  4.3 물 부족량 평가 및 대안제시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대웅 Dae Wung Lee. 유량조사사업단 영산강조사실
  • 정재원 Jaewon Jung.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홍승진 Seung Jin Hong. 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한대건 Daegun Han.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주홍준 Hong Jun Joo.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형수 Hung Soo Kim.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