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ES제도를 활용한 농어촌관광개발 지원정책의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Rural Tourism Development Policies Applying Payment for Ecological/ Environmental Service Frame

나윤중, 유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ural tourism activities are including the experience of the natural and human ecological service of the areas. Most of rural tourism development policies concern more about incomes from tourist than preserving values of ecological services. This research proposed to adopt PES style approaches for developing ecologically sustainable rural tourism policies. This research was only for the proposal of new direction of policies, it was not able to show more alternatives of PES applied rural tourism policies. We expect future researches of finding more detailed alternatives of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의 자연 및 인문‘생태/환경 서비스’를 관광 소득의 수단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관광을 그러한‘생태/환경 서비스’의 유지에 필요한 수단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농어촌 관광은 본질적으로 농어촌의 고유한 자연/인문 생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관광에 대한 접근방식을 상품이나 환대 서비스가 아닌‘생태적 서비스’의 관점으로 정책을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을 하였다. 그 대안이 PES 즉‘생태적 서비스 지불 프로그램’을 적용한 농어촌 관광개발 정책의 대안적 제시였다. PES는 관광과 관련해서는 생태관광의 공간을 제공하는 자연생태계에 대한‘지불’프로그램으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관광정책의 근본적인 뼈대를 PES의 방식으로 했을 경우의 정책적 대안을 수립하는 과정과 가능한 정책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므로, 대안의 발굴에 있어서 예시적 대안 이상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PES 방식을 도입한 농어촌 관광정책의 필요성
  1. PES란?
  2. 농어촌 관광개발에 PES가 필요한 이유
 Ⅲ. PES의 구성
  1. 생태/환경 서비스(ES)의 범주와 내용
  2. 인문 생태/환경으로서의 ‘사회적 생태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
  3. 생태/환경 서비스의 공급자와 구매자
  4. PES 프로그램의 설계
 Ⅳ. 농어촌 관광정책과 PES 프로그램
  1. 농어촌 관광정책의 이해당사자와 정책의 수립
  2. PES적 접근을 통한 농어촌 관광정책의 제안
  3. PES 방식을 이용한 농어촌 관광정책의 설계
 V.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나윤중 Nah, Yoon-Joong. 동명대학교 호텔경영학과 교수
  • 유형숙 You, Hyung-Sook. 동의대학교 호텔컨벤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