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아시아 唐詩意圖 비교 연구(2) - 16-19세기 제작 배경과 화가 신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ang’s Poem-based Paintings in the East Asian Countries(2) :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Painter’s Status of the 16-19th Century

동아시아 당시의도 비교 연구(2) - 16-19세기 제작 배경과 화가 신분을 중심으로 -

조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the comm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ng’s poem-based paintings of the East Asian Countries in the 16-19 Centuries, and explain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each countries. Sharing the sameness principle of poem and painting, various Tang poem-based paintings had been produced in the East Asian Countries in these times. The poems of Tang, which expressed the lyricism of the nature and four seasons and the tranquil lifes of hermits, was in fashion as topics of paintings. The reason lies in the spread of the literati culture like the appreciation, collection, and critics about paintings and calligraphies in the Ming Dynasty,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the class enjoying the high culture, and the commercialization trend of paintings. The role of Wu School(吳派) commanding the Southern School Literati style painting(南宗文人畵風) with the Literati favoured objects and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pictorial albums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China,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centered in Suzhou( 蘇州) and Yangzhou(揚州), the classes enjoying and producing paintings was expanded and intermingled, which resulted in the full-fledged commercialization of paintings. The late Chosen also experienced the fashion of the literati paintings stressing ‘writing ideas’(寫意) more than ‘formal likeness’(形似) with the social stability. The Kyoto painters in the Edo period liked to make paintings of chinese writings and poems in the mood of favouring the chinese literati culture. In the process, some literati having a talent of drawing changed into professional painters corresponding the popular demands in paintings in China and Chosen. Instead many painters was produced from the middle class in Japan due to the lack of the literati.

한국어

본 논의는 16-19세기 동아시아 3국에서 제작된 唐시의도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고, 각국의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화가 신분과 시의도 제작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한자문화권의 3국은 詩畵一律이라는 예술적 지향을 기반으로 당시의도를 제작했으며, 산수 자연과 사계절의 抒情, 그리고 은일자의 삶과 정서가 주제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당시의도의 성행 배경은 明代의 書畵에 대한 감상, 수집, 감평 등의 문인문화의 유행과 확산, 경제 성장에 따른 문화 향유층의 확대, 회화의 상품화 경향을 들 수 있다. 또한 문인 취향의 화제로 남종화풍을 구사한 명대 吳派의 활약과 조선과 일본에 전해진 중국화보의 영향도 중요하다. 중국에서는 蘇州, 揚州를 중심으로 발전한 경제를 토대로 회화 향유와 창작의 계층이 확대, 중첩되면서 서화의 상품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선도 후기에 들어서면 사회적 안정을 기반으로 形似보다는 寫意를 중시하는 당시의도가 더욱 많이 제작되었다. 일본의 에도시대에는 중국의 문인문화를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교토의 화가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詩文을 그리는 것이 크게 유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국과 조선에서는 회화의 수요열에 부응하여 그림에 재능있는 문인들이 직업화가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와 달리 일본의 경우 교토를 중심으로 중인계층 출신의 문인화가들을 탄생시켰는데, 이는 문인계층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았던 일본의 사회적 특성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동일한 화제의 唐詩意圖 유형
 Ⅲ. 각 국의 唐詩意圖 성행 배경
 Ⅳ. 唐詩意圖를 제작한 3국 화가의 신분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인희 Cho, InHee.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