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수 논의 : 권력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ppropriate Size for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 Differences Resulting from Constitutional Structures

梁圭植, 陳英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perspective of ‘Problem-Solving Political Scienc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question on appropriate size for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resulting from constitutional structures. ‘How many people should represent the sovereign public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s an inevitable question and problem in contemporary representative democracies. Thus, the political science should be able to answer this kind of question and this study aims to do so although it can not be the complete answer,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es.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escribes as per Article 41 (2),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shall be determined by Act, but the number shall not be less than 200.” However, if the constitutional struc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changes to parliamentarism or semi-presidentialism, in relative sense through world wide comparis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claims that the number should be enlarged which might need constitutional amendment. Previous researches have also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regarding appropriate size for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regression analysis but have not directly focused on the political variables such as constitutional structures. This study highlights that such political variable is of great importance and tries to find out the appropriate size of the National Assembly by focusing on relative position of the current size in three different categories of constitutional structures: presidentialism, parliamentarism, and semi- presidentialism. This study concludes that if the Republic of Korea shifts from current presidentialism to parliamentarism or semi-presidentialism, the size of the National Assembly might need adjustments which require constitutional amendment, if internationally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n same categories.

한국어

본 논문은 ‘문제 해결의 정치학’(Problem-Solving Political Science)의 관점에서 오늘날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수의 크기에 대한 논의를 권력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몇 명이 주권자인 국민을 대신해서 정치과정에서 역할을 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은 현대 대의민주주의 국가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질문이고 이에 대한 답변을 정치학이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회의원 규모에 대해 “국회의원 정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한다(제41조 2항).”고 규정하고 있지만 의원내각제 혹은 이원집정부제로의 권력구조 개편이 이루어질 경우, 국제적인 비교를 통한 상대적 수준을 고려했을 때, 국회의원 정수의 확대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권자인 국민을 대표하는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의 정수에 대한 정치적인 논의에서 정치적인 변수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이원집정부제로 대표되는 권력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앞으로 예상되는 한국의 권력구조 개편에 따른 적정한 수준의 국회의원 정수 논의에 중점을 둔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수 논의들과 한계
Ⅲ.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수 회귀모형:권력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1. 기존 회귀모형의 한계 극복
2. 권력구조 유형을 중심으로 한 국회의원 정수 회귀모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梁圭植 양규식. 연세대학교 석사과정, 정치학
  • 陳英宰 진영재. 연세대학교 교수, 정치외교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