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이야기 ‘나눔’의 문화적 생산성 : ‘이야기 연행’의 대안적 구성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와 과제

원문정보

The actualities and tasks of oral narration activitiesby Storytelling Grandmother

박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ject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of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is modern typical storytelling sites of life fields type which was started since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ctualities of storytelling activities by ‘Storytelling Grandmother’ using the three requisites of story, storyteller, and audience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about their storytelling site, and try to figure out their performanc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s a storyteller. Further more this paper is to suggest improvement and tasks of Storytelling Grandmothers’ oral narration activities. The Storytelling Grandmothers' oral narration activities follow guidelines for operating which is made by the project team of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Stories required for oral narration activities are selected and provided by the project team according to annual plan. Looking at the list of stories sele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stories of historical figures with impressive tales of ancient sages was chosen very highly. In the field investigation, the performance of Storytelling Grandmothers as a storyteller falls into three categories; the open-communication type, entertainment- play type, and acting type. The open-communication type is a way of induc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oryteller and the audience by engaging the audience into the story site through various questioning techniques in the story-reminding stage and the thought-talking stage. The entertainment-play type is a way of leading the story site to the play site by engaging the audience actively using songs and movements accompanied with entertainment. The acting type is a way of getting the audience to concentrate on story site using storyteller's various voice acting.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ing stories through dialogue-centered storytelling. The project 'Beautiful Storytelling Grandmother' should expand its capacity as a center for restoring the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that is disconnected and disappearing beyond the purpose of communion and education of the generation of grandparents and grandson with storytelling. Therefore, future storytelling activities by Storytelling Grandmothers should be centered on the story, storyteller, and audience, which are the three requisites of story site. The following is suggestions for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oral folk tales that has a power of vitality and transmission and expand its lists because it has the power that the storyteller narrating the folk tales can remember and narrate the stories easily and stimulate the imagination of the aud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oryteller's autonomy and openness so that the storyteller can grow up as a characterful storyteller through their storytelling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udience's position in the story site so that the audience can grow as a subject and potential storyteller.

한국어

한국국학진흥원의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2009년부터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현대의 대표적 생활현장형 이야기판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야기할머니 이야기판의 현지 조사를 통해 이야기 연행에 필요한 이야기, 화자, 청중 3요소를 중심으로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야기꾼으로서의 이야기할머니 연행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나아가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향후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단에서 기획하고 제작한 운영 지침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연 활동에 필요한 이야기는 연간 계획에 따라 사업단에서 별도로 제작한 교재에서 매해 구연 목록을 선정하여 제공한다. 최근 3년간 선정된 이야기 목록을 살펴본 바, 문헌에 기록된 선현들의 미담을 다룬 역사인물담 선정 비중이 매우 높았다. 현지 조사를 통해 분석한 이야기할머니 연행 방식은 소통개방형, 오락놀이형, 연기형으로 나타났다. 소통개방형 화자는 지난 이야기 되새기기 단계와 생각 말하기 단계에서 다양한 질문기법을 통해 청중을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화자와 청중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오락놀이형 화자는 본격적인 이야기 구연 전후로 오락성이 가미된 노래와 율동을 삽입하여 청중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이야기판을 놀이판 양상으로 이끌어 나갔다. 연기형 화자는 다양한 목소리 연기를 통해 청중이 흥미를 갖고 이야기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화 삽입을 통해 서사를 확장해 나갔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이야기를 통한 조손 세대의 교감과 훈육의 목적을 넘어 이제는 단절되고 사라져가는 전통적인 이야기 구술문화를 회복시키는 구심으로의 역량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향후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이야기판의 3주체인 이야기, 화자, 청중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화자가 기억하여 구연하기 쉽고,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는 생명력과 전승력을 지닌 구전설화 발굴과 목록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화자가 구연 활동을 통해 개성 있는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화자에게 구연의 자율성과 개방성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청중이 이야기판의 한 주체이자 잠재적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이야기판에서 청중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생활현장형 이야기판 성격의 구연 활동
 2.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개요
 3.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
 4.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현숙 Park, Hyeon-suk. 건국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