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 체제 변천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in Korea

김세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in Korea and to present task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genealog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0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rs published as par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dopted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as a major principle of organizing and arranging the content. However, ongoing criticism on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in terms of empirical and practical aspects raises a need to further studies into organizing and arranging alternative content and to sophisticate and advance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Second,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be reconstructed based on solid integration. For this, further researches on social functioning, strand, core competence, and other integration related topic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re is a need for a rational consensus and research into systemization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based on theoretical, empiric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methods of organizing the content of the history sec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urth, organizing a textbook should kindly take learners into consideration. Fifth, functional learning should be systematically presented to learners so that they are able to learn and familiarize with function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a concrete manner.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계보 탐색을 통해 구성의 특징을 밝히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3, 4, 5, 6학년 사회 교과서 총 80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기준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는 환경확대법을 주요한 내용 조직 및 배열 원리로 적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환경확대법이 경험적, 실천적으로 비판받고 있기에 대안적 내용 조직 및 배열 원리에 대한 연구와 환경확대법의 정교화가 필요하다. 둘째, 강한 통합성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기능, 스트랜드, 핵심역량, 그 밖의 통합 논의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 사회과에서 역사 영역 내용조직 방법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실천적 연구를 통한 근거 있는 합의와 초등 역사 교육에 대한 계열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보다 친절하고 학습자를 배려하는 교과서 구성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능학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사회과와 관련된 기능을 구체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 대상 및 방법
 III.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 체제 분석
  1. 교수요목기부터 제2차 교육과정기까지
  2. 제3차 교육과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
  3. 제6차 교육과정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기까지
 IV.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 체제의 특징과 함의
  1.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 체제의 특징
  2. 한국 초등 사회 교과서 구성 체제의 특징에 따른 함의
 V. 결론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세훈 Kim, Sehoon. 평택도곡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