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 : 한국어문학 연구의 국제적 현황과 과제 2

『용문전』 속 귀화인 인식 연구 - ‘이민족 영웅’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cognition of naturalized person in <Yongmoonjeon(龍門傳)>

박혜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sequel to that was published based on the prominence of to . ‘s mian character Yongmoon, an ethic hero, describing the naturalization from Ho(胡) to Ming(明). The recognition of Yongmoon is viewed as a foreigner/naturalized pers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tant generation. illustrates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a heroic story line but it emphasizes on the naturalization of Ming(明), not on the process of becoming a hero. Yeonhwa-ascetic, Yonghun, Sodaeseong are the most influential characters to Yongmoon’s transformation of his identity which relates from the story lines of traged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warfare stories. Although Yongmoon represents as a foreigner, he discerns good and evil and inferiority as a third perspective from Chinese(中華, Han Chinese) and raising his voice effectively on the positive side of Ming(明); therefore, Yongmoon represents as a key character to determine whether which country takes the victory. We translate his naturalization as Mohwa (慕華, the affection towards China) Yongmoon is described as a foreigner and not a Chinese although he performed a legal act which a non-citizen in a country may acquire nationality of that country. In the story, he is not portrayed as a cultural ability, only his martial power. This is different from Ming(明)'s Hero Sodaeseong. Yongmoon is the main character of Yongmoonjeon and a naturalist in our country. But this novel has a discriminative perspective that sees him as an barbarian with no civilization. And The writer depicts Yongmoon and his son Younggol as grotesque figure or therianthropy(半 人半獸), and sees the power of the hero as a savage force that has lost civilization. The Insular view of Yongmoon is linked to the viewpoint of the naturalized person in Chosun (朝鮮) society at the time. Several naturalized people, who came to Korea from foreign countries, had to propagandize the virtues of this country that had edified them. And They were mobilized to prevent the war or the rage of Chosun(朝鮮). This is based on recognition of the military capabilities of the naturalized people and a discriminatory view on 'barbarism' of them. Naturalized people were effectively used for the supremacy of the country. But They were still unable to escape discrimination after naturalization. Yongmun and his son Yonggol’s shape are the result of reflecting that double-sided view of the naturalized people at the day.

한국어

『용문전』은 『소대성전』의 인기를 바탕으로 지어진 속편으로 호국에서 명국으로 귀의한 이민족 영웅인 용문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다. 그렇기 에 작품 속에서 용문에 대한 인식은 이민족 및 귀화인에 대한 당대 사회 의 인식과도 연결해 볼 수 있다. 먼저 『용문전』의 서사구조를 보면 기본 적인 영웅서사구조를 따르나 용문이 ‘영웅이 되는 과정’이 아닌 ‘명으로 귀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 변화에는 그의 스승인 연화도사 및 아버지 용훈, 소대성과의 관계가 주는 역할이 크다. 그 관계 속에서 『용문전』은 고난 서사가 군담 이후로 옮겨지는 등 기존의 영웅서사구조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용문은 이민족이면서도 제3자적인 입장에 서서 화이간의 선악, 우 열을 판단하고 있는데, 그러면서 명국의 우월함을 더 효과적으로 선전하 고 있다. 이러한 용문의 시각은 그 자신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두 나라 간의 승패를 좌우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용문의 이러한 그 의 모화(慕華)는 곧 귀화로 이어진다, 그러나 귀화자로서의 용문은 작품 속에서 온전한 ‘중화인’으로서가 아 닌, 여전히 ‘이민족’으로 그려진다. 서사 속에서 용문은 문무겸비한 영웅 소대성과 달리 ‘문예적 자질은 소거된 채로’ 무예적 자질만이 부각된다. 주인공이자 귀화인인 용문 또한 여전히 문명이 없는 오랑캐로 보는 차별 적 인식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기괴하게 과장되어 있거나 반인반수(半人半獸)로 나타나는 그와 아들 용골의 외양 묘사에서도 이민족 영웅의 힘 을 ‘인간성이 거세된’ 야만적 힘으로 보는 차별적 시각이 드러난다. 소설 속 용문에 대한 배타적 시각은 당대 사회 속에서 향화인에 대한 시각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방에서 조선으로 온 여러 향화인은 기본적으 로 ‘그들을 교화’시킨 조선의 덕화를 더욱 선전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전쟁이나 난을 막는 등의 일에 동원되곤 하였다. 이는 향화인들의 군사적 능력에 대한 인정과 동시에 그들의 ‘야만성’에 대한 차별적 시선에서 비롯 한 것이다. 이처럼 귀화인의 존재는 그 나라의 우위를 세우기 위해 효과 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정작 이들은 귀화 이후에도 여전히 차별적 시선에 서 벗어날 수 없었다. 『용문전』에서의 용문과 반인반수의 아들 용골의 형 상은 이러한 당대 귀화인에 대한 양가적 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서사구조에서 나타난 이민족 영웅의 귀화 과정
 3. 『용문전』 내 이민족 영웅의 형상화 양상
  3.1. 화이간의 평가자
  3.2. 괴형(塊形)의 무신(武神)
 4. 결론을 대신하여 : 『용문전』속 귀화인에 대한 서사 인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인 Park, Hye In.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