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자상거래무역의 수출입구조 및 기여도 분석 연구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s Cross Border E-commerce Structure and Contribution Index

김승철, 이건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s cross border e-commerce has recently radical growth, reaching around 82% in 2016 even though the amount of export has dropped to –6.4% what it was last year. On the back of the emerging trend in global cross-border e-commerce, Chinese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has exhibited. This radical growth provides Korean medium small manufacturers and one-man startup business with opportunities to expand into a foreign market by using cross border e-commerce ex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ross border e-commerce and contribution index for Korea’s export to suggest the activation alternatives of cross border e-commerce. This study used The Data for country by country and product by product of Korea’s e-commerce by Statistics Korea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ross border e-commerce. The result shows that China is Korea’s the largest cross border e-commerce export market, accounting for 78.4% of total e-commerce exports in 2016 and USA is Korea’s largest e-commerce import market. Cosmetic and beauty & fashion items are major items in Korea’s cross border e-commerce export (nearly 70%). This means that China is a major country in Korea’s cross border e-commerce export and shows structure of cross border e-commerce is limited with cosmetics related i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cross border e-commerce export target countries and items to promote export of cross border e-commerce.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이 매년 10%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의 2015년, 2016년 전체 무역수출입액은 감소한 반면 전자상거래무역은 평균 80%이 상 성장하였다. 특히 전자상거래무역의 시간 및 비용절감형 특징은 해외 판로 개척에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및 1인 창업기업에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국가(대륙)별/상품군 별 온라인 쇼핑 해외직접 판매액 및 구매액>자료를 활용하여 전자상거래무역의 수출입구조 및 기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전자상거래무역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 과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입액은 전체 무역수출입액의 0.1%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수출의 마이너스 성장에 비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은 80% 이상 고성장을 하는 등 전자상거래무역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수출은 중국을 중심으로 화장품과 의류 및 패션관련 상품, 수입은 의류 및 패션관련 상품, 음식료품 중심으로 미국과 EU에서 수입되는 편향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편향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자상거래 정보공유, 결제 및 금융서비스, 스마트물류, 통계모니터링, 전자상거래 리스크 관리 및 예방 등 총합적인 전자상거래무역 거래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연구
  2.1 정의
  2.2 특징
  2.3 연구방향
 Ⅲ. 전자상거래무역 수출입구조 및 기여도분석
  3.1 전자상거래무역 수출입 현황
  3.2 전자상거래무역의 국가별수출입 비율 및 순위
  3.3 전자상거래무역의 국가별, 품목별 수출입
  3.4 전자상거래무역의 한국무역수출입 기여분석
  3.5 분석요약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철 Seung-Chul Kim. 영남대학교 무역학부 교수
  • 이건희 Keon-Hee Lee. 영남대학교 무역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