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PTSD among Firefighters

원문정보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통합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Jung Min Mo, Jeong Yee Bae, Min Yeong Kwak, Su Mi Kang, Min Kyung Kim, Chang Hyo Ba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to prevent and manag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firefighters may suffer, which enhances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ir working level (individual or group). It examines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of 170 firefighters working at a fire station in Y city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utiliz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Therefore, the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PTSD among firefighters can effectively maintain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engagement with psychological support activities. Firefighters can also be useful in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preventing progression to PTSD, be useful in alleviating the secondary pathologies, and prevent the ripple effect of your organization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1차 예방교육, 2차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개인상담과 집단요법 및 3차 추후관리를 위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3단계로 구성되어진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소방공무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Y시의 소방공무원 170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시행 후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정되었다. 따라서 일선 현장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외상후 스트레스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개인적, 집단적 접근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를 경감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 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실무에서 확대 보급되어지고,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와 지속성을 검정하는 종단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져, 소방공무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정책수립이 수반되기를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프로그램 개발
  3.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4. 연구도구 및 측정
  5.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 정도 및 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ung Min Mo 모정민.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Korea
  • Jeong Yee Bae 배정이.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Korea
  • Min Yeong Kwak 곽민영.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Korea
  • Su Mi Kang 강수미.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Korea
  • Min Kyung Kim 김민경.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Korea
  • Chang Hyo Bae 배창효. Inje University, 75, Bokji-ro, Busanjin-gu, Busan,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