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제품 디자인 콘셉트에 내재된 비즈니스창의성코드에 관한 연구 : K-디자인 수상작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siness Creativity Codes Embedded in New Product Design Concepts : Focusing on the K-Design Award Winners

박진영, 박영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examine how the Business Creativity Codes(BCCs) are embedded in new product design concepts, the 119 award winners of K-Design Award are analyzed in this study. Among the 119 award winners, BCCs are applied to 75 winners.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11 BCCs, combination and attribute dependency codes are most widely used. It implies that combination is a main source of creativity, and there is lots of opportunities to expand the inherent functional capabilities and enhance customer valu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ttribute dependency code. Secondly, redefinition code is not observed in all the examined design concepts, although redefining customers and their needs are very important on the viewpoint of customer-centered breakthrough strategy. There are many well-known blockbusters in which redefinition codes are applied. This implies that the creation of new market is possible without new product design concepts by redefining target customers and their critical needs. Thirdly, only combination and analogy codes among the six codes added to the SIT five thinking tools in BCCs. It implies that impressive design concepts are not enough for the commercial success. Lastly, while subtraction, multiplication, division codes of the SIT five thinking tools are mainly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usability, task unification and attribute dependency codes are mainly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ity. Among the six codes added to the BCCs, combination code is 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ity, and analogy codes contributed to many utility levers such as functionality, usability, aesthetics.

한국어

우리나라가 주최하는 국제 디자인상인 K-디자인상의 신제품 디자인 콘셉트 수상작들에 내재된 창의성코드를 분석하고, 각 창의성코드가 어떤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지 고찰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된 119개의 수상작 중 75개에 BCC 코드가 내재되어 있었으며, 이들로부터 관찰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제품 디자인 콘셉트에서 결합 코드와 속성의존 코드의 적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이것은 결합이나 융합이 창의성의 중요한 원천이며, 속성의존을 통해 제품 고유의 기능성을 확장 또는 개선함으로써 고객의 가치를 창출할 기회가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고객과 그들의 요구사항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은 고객중심 혁신이란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나 본 연구에서 검토한 신제품 디자인 콘셉트에서는 재정의 코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재정의 코드의 적용을 통해 시장에서 크게 성공한 사례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새로운 디자인 콘셉트가 도입되지 않더라도 고객이나 고객의 핵심적 요구사항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SIT 5가지 사고도구 외에 BCC에 추가된 6가지 코드 중 본 연구에서 검토한 디자인 콘셉트에서는 결합과 유추 코드만 적용되었다. 이것은 실제 시장에서 통하는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인상적인 디자인 콘셉트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SIT의 5가지 사고도구인 제거, 복제, 분리는 주로 사용성 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용도통합과 속성의존은 기능성 개선에 기여하였다. 또한 BCC에 추가된 코드 중 결합은 기능성 개선에 기여하였으며, 유추 코드의 적용효과는 기능성, 사용성, 심미성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진영 Jin-Young Park. 석사과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 박영택 Young-Taek Park. 교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