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沙溪 金長生의 『상서』 해석 - 『經書辨疑-書傳』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Kim Jangsaeng(金長生)’s Interpretation of Shang Shu(尙書) : Analyzing his Gyeongseo Byeoni on Shu Ji Zhuan (經書辨疑-書傳)

사계 김장생의 『상서』 해석 - 『경서변의-서전』을 중심으로-

김만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wo most influential commentaries on Shang Shu(尙書,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a.k.a. Shu Jing書經, Classic of History, also just abbreviated to ‘Shu書’, pronounced ‘Seo書’ in Korean) in early Chosun(朝鮮) period are Kwon Geun(權近)’s Seo Cheongyeonnok(書淺見錄, Superficial Reflections on Shu Jing) and Yi Hwang(李滉)’s Seo Seoki(書釋義, Commentary on Shu Jing). These two books were written to interpret Shang Shu on the basis of explanatory notes of Shu Ji Zhuan(書集傳, A Collection of Comments on the Shu) by Cai Chen(蔡沈) who was one of Zhu Xi(朱熹)'s eminent disciples. The interpretation of Shang Shu on the basis of Shu Ji Zhuan should be preceded by examining and analyzing Shu Ji Zhuan per se. Kim Jangsaeng(金長生)’s Interpretation of Shang Shu was inherited from the previous achievements of Shang Shu interpretation of early Chosun period represented by Kwon Geun and Yi Hwang, and also written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ed and intensified examination of Cai Chen’s commentary on Shu Jing. Kim Jangsaeng’s Gyeongseo Byeoni on Shu Ji Zhuan(經書辨疑-書傳, The Examination of divergent passages in Chinese Classics - On Cai Chen’s Collection of Comments on the Shu) has 104 articles in total out of which 82 articles are on the subject of Cai Chen’s Shu Ji Zhuan, and mainly deals with the problems in Shu Ji Zhuan such as Controversy over Jinwen(今文: current script in Han Dynasty) and Guwen(古文: ancient script) texts, the reliability of forewords to each chapters of Shang Shu called Shuxu(書序), the problem of first 28 characters in Shun Dian(舜典, Canon of Shun, the second chapter of Shang Shu), and historical research on geographic themes. These topics were also main issues in Cai’s Shu Ji Zhuan, which shows Kim intended to supplement and rectify Cai’s deficiencies and faults. In the course of closer examination, Kim had recognized the inaccuracy of Cai’s Shu Ji Zhuan,, which drove him to suggest the alternative commentaries. This can be regarded as his own line of interpretation of Shang Shu in Chosun dynasty when Cai’s interpretation had great influence in Shang Shu study. It is also noteworthy that Kim adopted the interpretations of commentaries of Chosun dynasty’s preceding scholars such as Kwon Geun, Yi Hwang, or Yi I(李珥) and comtemporary scholars such as Sin Heum(申欽), Im Sukyeong(任叔英), Jeong Hongmyeong(鄭弘溟), and that Kim’s commentary had influenced to Kim Jongjeong(金鍾正)’s interpretation of Shang Shu who lived in 18th century’s Chosun dynasty, the era of King Yeonjo(英祖) and Jeongjo(正祖). Kim Jangsaeng’s Gyeongseo Byeoni inherited the preceding interpretation of Shang Shu in early Chosun period such as Kwon Geun’s or Yi Hwang’s, which intensified and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Cai Chen’s interpretation of Shang Shu, and also accepted positively his comtemporary scholars’ view such as Sin Heum, Im Sukyeong, and Jeong Hongmyeong, which means that he propose the alternative of Cai’s interpretation. Kim Jangsaeng’s interpretion and commentary of Shang Shu can be evaluated as the bridge to later Chosun dynasty’s own line of Shang Shu interpretation.

한국어

조선전기 상서 주석서는 권근의 『서천견록』과 이황의 『서석의』가 대표적인 주석이다 두주석서는 모두 채침의 『서집전』에 근거하여 상서 경문은 해석하려는 것이 저술 목적이다. 『서집전』에 근거하여 상서 경문은 해석하려면 먼저 『서집전』에 대한 검토 해석이 우선되는 과제였다. 김장생의 『경서변의-서전』은 권근과 이황의 상서 주석서를 계승하면서도 한 단계 더 심화하여 채침의 『서집전』을 보충 해석하려는 것이 저술 목적이었다. 김장생의 『경서변의-서전』은 체제에 있어서도 전체 104개 항목 중에서 82개 항목에 걸쳐서 『서집전』을 검토대상 표제어로 내걸고 이에 대해 주석하였던 점에서도 『서집전』에 대한 검토 해석이 저술의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용에 있어서도 『서집전』에서 다루었던 금문 고문의 문제, 서서, 순전 28자, 지리고증에 대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 설명하고 오류를 검토 고증하였다. 『서집전』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 고증 분석하는 과정에서 『서집전』의 부정확한 부분과 불완전한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보충하고 문제점을 바로 잡기 위하여 많은 다른 주석서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과정에서 『서집전』의 범주를 넘어서는 독자적이 주석을 시도하게 되었다. 특기할 것은 채침의 『서집전』을 보충 보정하는 자료로서 조선의 선ㆍ후학의 상서주석서를 많이 인용하였다는 점이다. 앞선 시기의 권근 이황 이이의 설을 수용하였고 동시대의 신흠 이숙영 정홍명의 주석을 인용하였다. 또 김장생의 상서 주석서는 18세기 영ㆍ정조 년간에 활동한 김종정의 상서 주석에도 인용되어 후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김장생의 『경서변의-서전』의 서전은 조선전기 권근 이황의 상서 주석을 계승하여 『서집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동시대 신흠 임숙영 정홍명의 주석을 수용하여 채침의 『서집전』을 비판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조선후기 독자적인 상서 주석으로 나아가는 교량적 위치를 점한 것으로 평가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 초기 『상서』 해석의 경향과 김장생의『경서변의-서전』 저술
 3. 김장생의 『서집전』 해석
 4. 조선 『상서』 주석서의 수용과 독자적 『상서』주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만일 Kim, Manil. 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