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宋ㆍ金代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원문정보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Song・Jin Dynasty Ding Ware(定窯)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송ㆍ김대 정요 자기의 영향과 의미

김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tive influence of Song・Jin Dynasty Ding ware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wares were studied. First, the finds excavated from Korean historical sites dating to the Goryeo dynasty have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standards and quality of Ding ware were very high. It is rationalized that the exclusive use of Ding ware by the highest social strat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influence of Ding ware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Second, it is observed that Goryeo celadon exhibiting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ttributed to Ding ware influence are of high quality, and a majority of these exampl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kiln sites of Sadang-ri in Gangjin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celadon produced for the royal court. Third, it is argued that the term ‘dingqi zhidu(定器制度)’ as recorded in Gaolitujing(高麗圖經) by Xu Jing(徐兢)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style of Ding porcelain’ rather than understood as the laws governing standards of porcelain production. Fourth, the paper focuses on the formative influence that Ding ware had on Goryeo celadon especially in reference to quality, inscriptions, decorative designs and significance. Based on the above evidence, it is confirmed that Song and Jin dynasty Ding porcelain of the highest quality served as the models that influenced 12th century Goryeo celadon. Fifth, Xu Jing also makes note as is evident in his records of 1123 that state, “The color and brilliance of recent Goryeo celadon has improved in beauty,” referencing the Goryeo celadon produced during the fir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한국어

본고는 강진 사당리 요지와 정요 요지 관련 신자료들을 중심으로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송, 금대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국내 유적에서도 거의 발견된 예가 없는 金彩 정요 자기를 포함하여 고려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정요 자기의 제작 수준과 품질이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려 사회에서 정요 자기를 사용하던 계층이 왕실이나 귀족, 고위 관료 등 상류층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12세기에 고려청자에 정요 자기의 영향이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정요 자기와 조형적인 영향 관계가 보이는 고려청자는 품질이 매우 좋으며, 왕실 관련 청자를 제작하던 강진 사당리 일대 요지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특히, 이룡문이 시문된 다양한 종류의 접시와 발류는 정요 자기와 크기, 기형, 문양 구성 까지 유사한 예가 많았다. 이외에도 마갈문, 용문, 모란문, 연화문, 훤화문, 물가풍경문 등에서 정요 자기의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서긍이 󰡔고려도경󰡕에 기록한 정기제도는 ‘정요 자기의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서긍이 기록한 것처럼 접시, 완, 탕잔 등의 다양한 일상 기명에서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이 보이고, ‘정기’와 ‘제도’의 의미를 문헌자료에서 확인하여 기존 연구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12세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는 송, 금대 궁정에서 사용된 매우 수준 높은 그릇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고려청자의 조형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의 품질, 명문, 문양의 의미, 건륭제 명으로 1785년에 간행된 황실 소장 珍品 圖冊인 󰡔珍陶萃美󰡕와 󰡔精陶韞古󰡕의 내용 등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본고에서 제시한 북송 말기 정요 자기의 영향을 받은 고려청자를 서긍의 기록과 연결하여 보면 북송 말기 궁정용 정요 자기가 거의 동시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근래에 고려청자의 色澤이 더욱 아름다워졌다’는 1123년의 서긍의 기록에 부합하는 12세기 1/4분기 경의 고려청자의 발전 양상과 편년 기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고려 유적 출토 정요 자기와 ‘定器制度’의 의미
  1. 고려 유적 출토 정요 자기의 특징과 유입시기
  2. 『고려도경』‘定器制度’의 해석과 의미
 III. 고려청자와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 요소
  1. 瑞獸文
  2. 花文과 물가풍경문
 IV. 송 · 금대 宮廷用 정요 자기와 고려청자와외 관계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정 Kim Yunjeong.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