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풍납토성 일대 도시형태 변화과정 연구 - 하천, 도로, 풍납토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Urban Forms around Pungnaptoseong Fortress - Focusing on the river, the roads, and Pungnaptoseong Fortification -

이난경, 양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nging process of the urban forms of the river, the roads, and the rampart in the whole area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until now from 1910. Concretely, it studies how the river, the roads, and the rampart with the temporal permanence among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e whole area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as the core area of Seoul that aims at the historic city in 2000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 in an aspect of cause and effect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the rampart in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and those of the river and the road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river in the transformation period has found that the flow path of the Han river(the Songpagang River) got to flow being more bent to the left under the influence of a great flood in 1925 and in addition, small and large pools of water were created around the rampart. And the zones washed away on the rampart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were clearly found. The collapse period has found that the river course of the Han River was changed from the Songpagang River, the main stream, to Sincheon according to its coastal development which started construction in 1968 as the artificial factor and the width of the Han River got to be uniform as at present due to the Han River development project which started construction in 1982. For the roads, the Gwangju Highwa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Gwangjingyo(Bridge), Old Cheonho Intersection, and the car-centered straight road system were created in the transformation period. For the roads creat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new conventional and illegal roads were established as the inner local road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old road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ads created in the development and damage period were classified by doing history of the roads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before it. Through this, the old roads of the Joseon Dynasty that have remained until now can be found and separated from the roads cre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collapse period, the process that Pungseong-ro, Toseong-ro, Hangaram-ro, Gangbyeon 7-ro(Olympic-daero), Olympic-ro, Gangdong-daero, and Cheonho-daero were established surrounding or crossing the rampart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was found. Finally, the process that Olympic Bridge and the accident roads were established was examined. For Pungnaptoseong Fortress, the rest rampart zone except the parts that were washed away in the great flood in 1925 and before the period was just designated as historical remains through the phenomena-centered designation in the process to do them in the transformation period. And in this period, lots were divided as the rampart itself was devel-oped. The rampart was damaged due to the change of land category in the roads for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illegal roads, and the disposal of national land and devolving property. In the collapse period, the west rampart was damaged as the bank against it was built to create the riverside road. And the partial zone of the east and west walls got to be removed in 1969 as the original form of the rampart was lost by cultivation and housing construction. After that,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was set in 1970, but the rampart was directly and indirectly damaged or influenced as the main roads were built by urban planning. Especially, the banks of the Han River and Olympic-daero got to divide the rampart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toration of the rampart done in the collapse period caused several problems including confusion of the banks of the Han River and inconsistency of banking design by restoration zone. In the beginning of the preservation, the rampart that were maintained like the present got to be equipped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work of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from 1993 to 2003. After that, the plan to maintain the rampart was prepared as the basic plans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Pungnap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were estab-lished several times. However, there was the limit that the plans to preserve and manage the rampart zones that should be reviewed including the partial zones of the fragmented west rampar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Olympic-daero and the bank of the Han River, il-legal roads toward the northern wall created in the transformation and collapse period, the stonework of the westermost bank of the Han River on the northern wall, and the zones to cut the east wall due to the establishment of Pungseong-ro created in the development and damage period were not reflected.

한국어

최근 서울시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 ‘정도 600년 서울’에서 벗어나 ‘2000년 역사도시 서울’로의 역사적 정체성 확립을 추진하면서, 서울의 역사에 한성백제사를 핵심으로 포함시키면서 서울의 역사문화적 지층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 및 서울시는 2020년을 목표로 풍납토성,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방이동 고분군 등 한성백제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풍납토성에 대한 역사적 가치가 한성백제기 왕성에만 집중 조명되어 풍납토성 보존관리를 둘러싼 갈등과 그 해결방안들은 왕궁추정지 매입발굴과 그에 대한 보상문제, 이주대책 마련에만 치중되어 있다. 풍납토성 보존·관리방향의 중심이 되는 문화재 자체의 보존과 역사적 진정성 확보도 매우 중요하지만 문화재만이 아니라 문화재를 형성 가능케 한 지형 및 하천 등의 자연환경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삶의 흔적인 도시환경을 아우르는 역사문화경환경을 광역적, 통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진정성 있는 역사도시를 관리하는데 있어 과거의 도시가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 과거와 현재의 풍납토성은 서로 어떠한 맥락적 연계 상에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1910년부터 현재까지 풍납토성 일대의 하천, 도로, 풍납토성 성벽의 도시형태 변화과정을 미시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2000년 역사도시를 지향하는 서울의 핵심지역으로서 풍납토성 일대 역사문화환경 중 시간적 지속성이 높은 하천과 도로, 풍납토성 성벽이 어떠한 과정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원인과 결과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이며, 풍납토성 성벽 변화와 하천 및 도로 변화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하천은 풍납토성 변형기에는 을축년 대홍수의 영향으로 한강(송파강)의 유로가 이전보다 왼쪽으로 더 휘어져 흐르게 되었다. 그리고 성벽주변으로 크고 작은 물웅덩이가 형성되었다. 을축년 대홍수시 풍납토성 성벽의 유실구간은 북벽과 서벽의 연계구간에 해당한다. 풍납토성 해체기에는 한강의 하도가 본류인 송파강에서 신천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현재와 같이 강폭이 일정한 인공하천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 외의 성내천 개수과정과 구거 및 물웅덩이 등의 수자원의 복개 또는 매립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도로는 풍납토성 변형기에는 일제강점기에 광주가도, 광진교, 천호 구사거리 및 자동차중심 직선 도로체계가 형성되었으며, 해방 후 형성된 도로는 지역내부도로로서 인습도로 및 불법도로 등이 신설되었다. 그리고 한강개발 이전의 풍납토성 도로의 연혁을 구분하여 조선시대 옛길 이후에 형성된 도로를 구분하여 현재까지 남아있는 조선시대 옛길이 확인 가능해졌고, 개발과정에서 형성된 도로들과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풍납토성 해체기에는 한강종합개발사업 및 가로재정비사업에 따라 주요 간선도로인 풍성로, 토성로, 한가람로, 강변 7로(올림픽대로), 올림픽로, 강동대로, 천호대로가 풍납토성 성벽을 둘러싸거나 가로지르면서 개설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올림픽대교 및 그 접속도로가 개설되는 과정을 밝혔다. 풍납토성 성벽은 풍납토성 변형기에는 고적지정 과정에서 현상중심 지정을 통해 을축년 대홍수시 유실된 부분과 그 이전에 유실된 부분을 제외한 잔존 성벽구간만이 고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시기에도 성벽자체가 개발되어 필지분할이 이루어졌고, 개발용도로의 지목변경과 불법도로 개설, 국유지 및 귀속재산 불하에 따라 성벽훼손이 이루어졌다. 풍납토성 해체기에는 강변도로 조성을 위해 성벽과 저촉되는 제방을 축조하면서 서성벽이 훼손되었고, 경작행위나 주택건설 등에 의해 성벽의 원형이 상실됨에 따라 1969년 동벽과 서벽 일부구간을 해제하였다. 이후 1970년 문화재보호구역을 설정하였으나 도시계획상의 간선도로들이 건설되면서 성벽이 직·간접적으로 훼손되거나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한강제방 및 올림픽대로는 풍납토성 성벽을 이분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풍납토성 외형을 왜곡시키게 되었고 풍납토성의 자연해자인 한강과의 단절을 초래하였다. 한편, 1973-1977년 시행된 성벽복원은 철저한 고증절차 없이 이루어져 한강제방과의 혼동야기, 복원구간별 성토설계 불일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보존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는 1993-2003년까지의 풍납토성 복원공사에 따라 현재와 같은 정비된 성벽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풍납토성 보존·관리 및 활용 기본계획이 몇 차례 수립되면서 성벽에 대한 정비 방안도 마련되었으나, 올림픽대로 및 한강제방 설치에 따라 파편화된 서성벽 일부구간, 북벽으로 뚫린 불법도로들, 북벽 서단 한강제방과 석축, 풍성로 개설에 따른 동벽 절개구간 등 검토해야할 성벽구간에 대한 보존·관리방안이 반영되어 있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목차

Ⅰ.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방법 및 자료
 Ⅱ. 이론적 고찰 및 연구의 틀
 Ⅲ. 풍납토성 변형기(한강개발 전 : 1910-1967년)
  1. 하천의 변화
  2. 도로의 변화
  3. 성벽의 변화
 Ⅵ. 풍납토성 해체기(한강개발 후 : 1968-1992년)
  1. 하천의 변화
  2. 도로의 변화
  3. 성벽의 변화
 Ⅴ. 보존의 시작(1993년-현재)
  1. 풍납토성 복원공사 및 발굴조사 시행
  2. 풍납토성 보존관리 및 활용기본계획 수립 및 변경
  3. 소결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난경 Lee, Nan-Kyoun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수료
  • 양승우 Yang, Seung-Woo.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