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종로 시전 뒷길의 능성구씨들

원문정보

Ku Family members behind the Downtown Public Market in Choson Dynasty

배우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son alleyways excavated in downtown Seoul last year has been the focus of the pub-lic atten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ided to preserve this ruins located behind the public market in a form of on-site museum. Near the lower right-hand corner of the site lies an alleyway that leads to a dwelling site which was called Taehwajeong(THJ). The owner of this site has belonged to Ku family. But the problem is that this site doesn’t seem suitable to the influential families like Ku. The connection of Ku family and THJ area dates back to the Early Choson Dynasty. After becoming the son-in-law of King’s brother, Ku, Su-yong received the very site from the King. His great-grandchildren Ku, Sa-an succeeded the rights and duties as the master of main house, and allocated the small amount of the real estate to his younger brother Ku, Sa-maeng. The descendants of these two brothers got along with each other until 17th century, but the disagreement arose between them over usage of their family gravesites and compilation of the family genealogy. As time went by, the relation went steadily downhill. Finally most of Ku families who had lived in the very site for about 300 years could not maintain their houses any more. The neighboring site of THJ, which was called Jamryongjiga(JRJG) afterward, was such an important place for the King Injo. His mother was a daughter of Ku family, and a wife of a royal prince. Accordingly Injo was no more than one of the royal family, who was raised and educated by the Ku family in the JRJG. After succeeding in military coup with the help of Ku family, Injo managed to hold political authority. Of many things that he wanted to do, it was important to guarantee the privilege of Ku family. The gate erected in front of THJ and JRJG was an iconic one. The servants of Ku family, well knowing that their masters were protected by the king and even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could not enter the special gate, exploited the gate. They used to go outside the gate and extorted the market merchandises. Considering that market area was not preferred for the high-ranking bureaucrat and in-fluential families of the Choson dynasty, it was a rare case for Ku families to maintain their main houses there. But the crucial point is that THJ and JRJG commanded a magnificent view, and the members of Ku family enjoyed the privileges by utilizing the special road and gate.

한국어

이 연구는 능성구씨의 종가가 저자거리 뒷골목에 자리잡은 특이한 상황을 해명하기 위해 구씨들의 이야기를 복원한 뒤, 구씨의 집터(태화정가와 잠룡지가), 그들을 위한 문(이문)과 길(중로), 그들의 영역범위(청진동,공평동,인사동 일대)라는 장소적 조건들의 의미를 그 이야기와의 연관 속에서 논증한 것이다. 19세기 이후 순화궁, 김흥근, 이완용 등 정치적 유력자들이 이 집을 탐냈던 것은 이곳이 “북촌의 갑제”로, 북촌의 다른 내노라 하는 저택들을 압도하는 넓은 조망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구씨와 태화정의 이야기는 조선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永膺大君은 세종의 총애를 한 몸에 받던 왕자였다. 세조는 동생 영응대군의 사위감으로 구수영이라는 인물을 정해 주었다. 세월이 흘러 구수영의 증손인 구사안이 구씨의 종가 역할을 하게 되었다. 구사안은 동생 구사맹을 위해 자기가 살던 곳의 서쪽 땅을 떼어준 뒤 집을 지어 살게 했다. 인조는 외가인 구사맹의 집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대종가와 소종가의 집터는 각각 태화정가, 잠룡지가로 불리게 되었다. 공평동 좌우로 다른 구씨들의 집자리가 확인되는 것은 대종가와 소종가로부터 구씨 후손들이 갈라져 나갔기 때문이다. 서로 양자를 주고받고 의지하면서 지내던 대종가와 소종가는 소종가가 가세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몰락하면서 벌어지기 시작했다. 여기에 산송 문제가 얽히면서 상황은 더 복잡해졌다. 소종가의 방계인 구선복이 옥사로 죽은 뒤 그 직계가 족보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이후 새로운 족보 편찬을 두고 대종과 소종의 대립은 더욱 악화되었다. 그 여파 때문인지 대종도 소종도 결국 몰락의 길을 걸었다. 구수영 이후 삼백년간 이어온 태화정가는 결국 안동김씨의 손에 넘어가게 되었다. 구씨 종가 터에서 종로의 어물전으로 이어지는 길이 피맛길과 만나는 지점에는 里門이라 불리는 시설이 있었다. 이문은 치안이나 교화 등 민중들의 일상생활을 규제하기 위한 것도 있었지만, 특수 집단이나 관아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것들도 있었다. 어물전 뒤의 이문은 말할 것도 없이 특권집단 구씨들을 보호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었다. 이 이문의 안쪽으로는 심지어 국가의 행정력조차 진입하기 어려웠다. 잠룡지가와 태화정가를 가진다는 것은 경관이 좋은 곳을 소유한다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이곳을 가진 자들은 비공식, 불법, 탈법을 포함한 사적인 방법으로 시전의 일부 또는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몰락하기 전의 구씨들 역시 그런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구씨의 하인들조차 이문 밖으로 나와 어물전 상인들에게 행패를 부리기 일쑤였다. 그들은 시전상인을 관리감독할 공식적 지위에 있지 않았지만, 시전상인을 수탈하기에는 오히려 다른 왈짜들보다 더 좋은 위치에 있었다. 그들에게는 이문이 있었고, 이문 뒤에는 구씨의 종택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야금 위반을 일삼는 ‘무뢰배’, 즉 왈짜가 될 수 있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태화정에서 태화관까지
 Ⅲ. 가계와 집터
 Ⅳ. 잠룡지가와 태화정가의 분열
 Ⅴ. 이문과 시전
 Ⅵ. 나가면서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배우성 Bae, Woo-Sung.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