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한제국기 이후 경희궁의 변화과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of Gyeonghuigung Palace since the Daehan Empire

박희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Gyeonghuigung Palace was created in relation to the dynamic society and the newly constructed Urban spac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Gyeonghuigung Palace was damaged in a fire at the time of King Sungjo(純祖) and repaired. The repair work at that time was the final construction of the SeoGwol(west palace, 西闕). During the time of King Gojong(高宗), the site was almost vacated as most structures were moved for the restoration of Gyeongbukgung Pal-ace. The empty palace site was managed along with Gyeongwoongung Palace(Deoksugung Palace) in the Daehan Empire(大韓帝國) to bring a big change to the palace’s position. The structures that symbolized the SeoGwol such as Seungjeongjeon and Heunghwa-mun during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Rule transferred to Jogyesa Temple (曹溪寺, cur-rently Dongkuk University) and Pakmunsa Temple(博文寺) to the southeast of the Seoul city wall and the palace site was occupied by Gyeongseong Middle School and official residences. Gyeonghuigung Palace was mostly destroyed and barely preserved the symbolic significance as a place that used to be a palace of Joseon. After the liberation, the site of Gyeonghuigung was used as an educational space. Enter-ing the 1970s-1980s, the educational space was moved as a part of Seoul’s urban planning and the site underwent ongoing excavation survey to designate the palace area as a historical relic and transform it into a historical park to restore its position and symbolism as an old palace of Joseon. Gyeonghuigung Palace has undergone the biggest change among the palaces of Joseon. Also, it has been most sensitive to the urban trans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Gyeonghuigung Palace during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ce from Hanyang(漢陽) to Gyeongseong(京城), to Seoul.

한국어

광해군때 창건된 경희궁은 임진왜란을 겪은 이후의 역동적인 시대상황과 새롭게 재건되는 도시공간과의 관련 속에서 조성되었다. 경희궁은 순조때 화재로 훼손되었다가 복구되었는데, 당시의 복원공사는 서궐 최후의 공사였다. 이후 고종때 경복궁 복원을 위해 대부분의 전각이 이축되어 거의 빈터로 되는 큰 변화를 겪었으며, 공궐(空闕)로 변화된 궁터는 대한제국기에 경운궁(덕수궁)과 함께 경영되면서 다시 궁궐의 위상에 커다란 변동을 가져왔다. 식민지시기에 숭정전과 흥화문을 비롯한 서궐의 상징성을 지속시켰던 전각들이 도성의 동남쪽 조계사(현 동국대)와 박문사 등으로 이전되고, 궁궐터에는 경성중학교와 관사 등이 들어서면서 경희궁은 파괴되어 조선궁궐이었다는 장소로서의 상징성만 겨우 유지하게 되었다. 해방 이후에 들어와서도 교육공간으로 사용된 경희궁터는 1970년-1980년대 들어와서 서울의 도시계획으로 인한 교육공간의 이전 및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비롯한 궁궐 영역의 사적 지정과 역사공원으로의 변모를 통해서 옛 조선궁궐의 위상과 상징성을 서서히 되살려 내고 있다. 이러한 경희궁은 조선궁궐 가운데 가장 많은 변화를 겪어온 궁궐이었다. 또한 다른 궁궐보다도 도시변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궁궐이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양에서 경성을 지나 서울 도시공간의 역동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경희궁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고자 했다.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시대 경희궁의 위상과 공간구성
 Ⅲ. 대한제국기 이후 경희궁과 주변공간의 변화
  1. 대한제국기 전후 경희궁의 변화와 경운궁과의 관계
  2. 일제강점기 경성중학교 설치와 경희궁 파괴
  3. 해방이후 서울의 도시공간 재편과 경희궁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희용 Park, Hi-Yong. 서울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