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대비 연구 - 어휘 사용의 경향성과 어휘 사용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exical Contrast of Seoul and Gyeonggi Areal Language - Focused on Language Usage and its Sociocultural Factors –

최창원, 오새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s of this research inquire into the subtypes of lexical differences between Seoul and Gyeonggi areal languages in traditional dialectology of Korean. The subtypes are di-vided by 6 which are ① same lexical type no difference around adjacent areas, ② same lexi-cal type some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③ More lexical items of Gyeonggi rather than Seoul, and no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④ More lexical items of Gyeonggi rather than Seoul, and some differences around adjacent areas, ⑤ More lexical items of Seoul rather than Gyeonggi ⑥ Only lexical items of Seoul(Among 6 subtypes, here were determined ①,③,⑤,⑥ subtypes only). The differences are caused by sociocultural factors on two areal languages. This research verified lexical contrast of two areal languages which based on recording survey of indigenous informants who were born prior to the 1940s in their areas. Accord-ing to traditional dialectology of Korean, ideal informants represent their regional lexical items which are affected by the style of living in their regional groups. Seoul informants live in urban areas so that they are not able to answer some agricultural vocabulary which re-lated to their lifestyle in Seoul. In contrast, Gyeonggi informants live in rural areas since the previous 1940s period so that they use agricultural vocabulary intimately and frequently which are affected way of living in the rural areas. This study determines the cause of dif-ference lexical items between two areal languag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ociocultural factors.

한국어

이 연구는 전통방언학 방법론으로 수집된 서울토박이말 어휘 자료와 경기지역어 어휘 자료를 대비하여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의 차이를 유형화하고 차이가 비롯된 요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모색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러한 어휘의 대비를 통해 어휘 사용을 제보자의 지역어에 대한 언어 지식과 서울·경기 지역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 서로 다른 지역에 사는 제보자들의 생활양식과 언어 행동의 차이를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들은 어휘의 유사성과 인접 지역 방언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6가지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①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유형이 동일하며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없음, ②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유형이 동일하며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있음, ③ 경기지역어의 어휘(변이형)가 서울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하고 인접 지역 방언과 차이가 없음, ④ 경기지역어의 어휘(변이형)가 서울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함. 인접 지역과도 다른 유형을 보임, ⑤ 서울지역어의 어휘(변이형)가 경기지역어에 비해 더 다양함, ⑥ 서울지역어에만 등장하는 어휘(변이형)가 있음이 그것이다. 본고에서 분석한 어휘 대비 목록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①, ③, ⑤, ⑥에 해당하는 범주에 대한 예시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역의 제보자들의 생활양식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보자, 분석 방법, 조사 지역
 Ⅲ. 서울지역어와 경기지역어의 어휘 목록의 범주화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창원 Choi, Chang-Won. 고려대학교 강사
  • 오새내 Oh, Sae-Nae. 계명대학교 교양교육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