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 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 태조 이성계의 사찰 건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s and the Inauguration of Buddhist Rituals in the Royal Capital of Han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s by King Tae-jo -

김윤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co-existence of the spaces for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royal capital of Han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ounders of Joseon Dynasty wanted to realize Joseon as a Confucianically ideal na-tion, and according to it, they conducted the policies of the expulsion of Buddhism such as reducing Buddhist temples approved by the government and decreasing economic founda-tion of the temples. But four Buddhist temples of Heungcheonsa, Jicheonsa, Heungboksa, and Heungdeoksa, built by king Tae-jo, played a big role for supporting Buddhist lives of people in the royal capital. Passing Yukjo street in front of the royal palace of Gyeongbok-gung, and going on straightly, Heungcheonsa and Jicheonsa were seen in a series, and then the scenes were connected to Namdaemun. East up to the royal palace of Changdeok-gung, Sungkyunkwan was located, and next to it, on the way to Dongsomun, there was Heungdeoksa. Heungboksa was located in broad land between two royal palaces. A Bud-dhist chapel in order for Kings to conduct simple Buddhist rituals was built deep inside the palace. Such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s by king Tae-jo was an obstacle for making the identity of the royal capital of Hanyang as perfectly Confucian There were frequent Buddhist rituals in temples such as Heungcheonsa, and the scales were not small. For Bud-dhist rituals, they included efforts to overcome natural disasters like drought, funerals and sacrifices fo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GubyeongJeongGeun(praying for recovery from diseases), and Chuksu(wishing for living long). In addition, beyond limited space of Bud-dhist temples, there were events related Buddhism in streets in the royal capital. As a result, it took quite long time to expel Buddhism as a heresy and to build a society dominated by Neo-Confucianism. It had taken about one century until Buddhist temples disappeared from the royal capital of Hanyang.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 초기 수도 한양에 유교와 불교의 두 공간이 공존하고 있었음을 다루었다. 조선 건국세력은 조선을 유교적으로 이상적인 국가로 건설하려 하였고, 그에 따라 국가 공인 사찰의 감축, 사찰의 경제적 기반 축소 등의 척불 정책을 수행하였다. 이는 정치·사상적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수도 한양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불교를 숭신했던 태조 이성계는 한양 천도 과정 속에서 수도의 모든 것이 새롭게 구획·건설되는 중에 흥천사, 지천사, 흥복사, 흥덕사 등 4개의 사찰을 건립하였다. 경복궁 앞쪽의 육조거리를 지나고 개천을 건너가면 흥천사와 지천사가 연달아 보이면서 남대문으로 이어졌다. 창덕궁의 동쪽 위로는 성균관이 있고, 그 옆으로 동소문 가는 길목에 흥덕사가 있었다. 양 궐 중간의 너른 땅에는 흥복사가 위치해 있었다. 궁궐 깊숙한 곳에는 국왕이 간략하게 불사를 행할 수 있는 불당도 건립되었다. 기존 개경의 사찰 수에 비할 수는 없지만, ‘억불’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국가의 수도로서는 적지 않은 규모였다. 이러한 태조의 사찰 건립은 수도 한양의 정체성을 완전히 유교적인 것으로 만드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흥천사 등의 사찰에서는 불교 의례가 자주 행해졌고, 그 규모도 작지 않았다. 불교 의례에서는 가뭄 등의 천재지변을 극복하려는 노력에서부터 왕실 구성원의 상장례, 救病, 祝壽와 관련한 의식이 행해졌다. 그리고 사찰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벗어나 도성 곳곳의 거리에서도 연등, 가구경행 등이 행해지기도 했다. 이렇듯 조선이 불교를 이단으로 배격하고 성리학 위주의 사회를 건설하기까지 꽤 오랜 세월이 걸렸고, 수도 한양 안에 불교 사찰이 사라지기까지는 약 100년의 기간의 소요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양 도성 내 불교 사찰의 건립
 Ⅲ. 불교 행사의 개설과 한양 사람들의 참여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주 Kim, Yun-Joo.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