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espite the recent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little has been studied on the detailed experience while conducting convergence research in Korea. To deeper understand challenges and overcoming in convergence research and to suggest an administrative system for it, by analyzing researchers experience and cognition while conducting their actual convergenc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ith 16 full-time faculty members with expertise in convergence research and research administration in a university and analyzed the interviews by using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e phenomenon researchers experienced is that “convergence research is not being effectively conducted,” and they experience growth in research through pursuing efforts and improving research atmosphere in various aspec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promoting convergence research.
한국어
최근 강조되는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융합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융합연구를 진행한 연구자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의 현실적 도전과 성장을 이해하고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행정 전문가 전임교원 16명을 심층면접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융합연구자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융합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노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융합연구의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참여자
2.2 조사방법 및 과정
2.3 조사내용
2.4 분석방법
2.5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6 IRB 승인
3. 연구결과
3.1 자료의 범주화와 구조분석
3.2 융합연구의 도전과 성장과정
4. 논의 및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