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King Josiah’s Reform in Northern Israel (2 Kings 23:15-20)
초록
영어
Since de Wette, the relationship between 2 Kings 22-23 which is King Josiah’s reform report and Deuteronomy has been one of the main topics of modern Old Testament study. There have been various arguments on the literary history of King Josiah’s Reform in Northern Israel(2 Kings 23: 15-20). In this study, the writer traces the textual and literary history of this report through etymological, lexical, and exegetic analysis of 2 Kings 23:15-20. Through this study, the writer reveals that the basic layer of this passage is 2 Kings 23:16aβ (whamjyw xbzmh-l[ Îtwmc[Ð @ rfyw) and part of v. 19a (~÷lvwry bvyw la-tybb rva twmbh ytb whyvay r[bÆrysh). To this basic layer, v 23:16aα and vv 16b-18 was added to connect this with the story of God’s man in 1 Kings 13 and Jer 7:30-8:3 which is Prophetic redaction layer. Second redactional layer in this passage is 2 Kings 23:15 which isexilic-Deuteronomic redaction. In this verse, King Josiah was described as ideal King loyal to Deuteronomic reform motif and broke down and burned the high place in Bethel. The final redactional layer in this passage is 18bβ, part of v 19a (larfy yklm wf[ rva !wrmv yr[b rva twmbh ytb-lk-ta ~gw), v 19b (la-tybb hf[ rva ~yf[mh-lkk ~hl f[yw), v 20a (~hyl[ ~da twmc[-ta @rfyw twxbzmh-l[ ~v-rva twmbh ynhk-lk-ta xbzyw), which is Post-exilic Deuteronomic redactional layer mentioning King Josiah’s removal of the high places in Samaria, slaughter of all the priests of the high places and burning men’s bones upon the altars. The final redactor of this passage in post-exilic community returned from Babylon denies the high places and priests in Samaria and gives authority to Jerusalem temple and its priests to reunify Northern Israel and Southern Judah religiously.
한국어
필자는 북이스라엘에서의 요시야의 개혁본문(왕하 23:15-20)에 대한어휘와 언어에 대한 연구와 주석을 통해 이 본문의 역사를 추적하며, 기존학계 연구의 문제점을 살피고 이 분야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열왕기하 23장 15-20절의 문서의 역사는 아래와 같다. 열왕기와 역대기의 공통 자료를 통해 추적 가능한 가장 초기의 기본 자료층은 요시야가 해골을 불태우고 제단을 부정하게 했다(whamjyw xbzmh-l[ Îtwmc[Ð @rfyw)는 열왕기하 23장 16aβ절과, 벧엘의 산당을 철거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lvwry bvyw la-tybb rva twmbh ytb whyvay r[bÆrysh)는19a절의 일부이다. 여기에 열왕기상 13장의 하나님의 사람 이야기와 연결하기 위한 23장 16aα절과 16b-18절의 ‘무덤 장면’이 보충되었는데 이는 예레미야 7장 30절-8장 3절에서 발전한 첫 번째 편집적 첨가로 예언자적 편집 본문이다. 이 본문의 두 번째 편집적 첨가 본문은 포로기의 신명기적 편집층(Exilic-Deuteronomic redaction)인 23장 15절로 바벨론 포로기의 편집자가 신명기적 용어를 사용해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벧엘에 세워 이스라엘에 죄를 범하게 한 제단과 산당을 철저하게 파괴하고 아세라 목상을 불살랐다는 내용으로 확대하며 요시야를 신명기적 개혁 정신에 충실한왕으로 묘사한다. 이 본문의 마지막 편집층은 19a절의 일부(larfy yklm wf[ rva !wrmv yr[b rva twmbh ytb-lk-ta ~gw)와 19b절(la-tybb hf[ rva ~yf[mhlkk ~hl f[yw)과 20a절(~hyl[ ~da twmc[-ta @rfyw twxbzmh-l[ ~v-rva twmbh ynhk-lk-ta xbzyw)로 요시야가 사마리아의 모든 산당을 제거하고 제사장들을 죽이고 제단 위에서 사람의 뼈를 불태워 그 제단을 부정하게 했다는 내용이다. 이 마지막 편집층은 포로 귀환 이후 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반대하며 사마리아 중심의 제의 공동체 재건을 강조하는 사마리아인들의 주장을반박하며 예루살렘 중심의 예배 공동체 회복을 강조하기 위한 포로 이후의신명기적 편집층(Post- Exilic Deuteronomic redaction)이다. 이 마지막편집층의 사마리아에서의 개혁 내용과 연결하기 위해 18bβ절에서 la-tybb 을 !wrmv으로 수정했다. 포로 귀환 공동체의 최종 편집자는 북이스라엘과남유다의 종교적 재통일을 위해 사마리아의 산당과 그곳의 제사장들을 부정하며 예루살렘 성전과 그곳의 제사장들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A. 벧엘 제단과 산당 파괴 (왕하 23:15)
B. 해골을 불태워 제단을 더럽힘 (왕하 23:16-18)
C. 사마리아에서의 개혁 활동 (왕하 23:19-20)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