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택시운전근로자의 감정노동,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원문정보

Effects of Emotional Labor, Depression and Self -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axi Driving Workers

서해주, 김자숙, 김자옥, 김학선, 조인영, 김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emotional labor, depression, and self - efficacy of taxi drivers. Study participants were 102 Taxi drivers in urban area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Emotional Labor, Depression, Self-efficacy, but Emotional Labor and Depressio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the factors such as spouse,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explained Health promotion behaviors 57%.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n order for taxi driver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s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with strategies increasing Self-efficacy and decreasing Emotional labo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택시운전근로자의 감정노동, 우울, 자기효능감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 택시운전근로자 102명이며, 자료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택시운전근로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3.22점, 우울은 평균 0.33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2.77점,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평균 2.74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감정노동과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 감정노동과 자기효능감,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우울과 자기효능감, 우울과 건강증진행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효능감, 감정노동, 배우자 유무는 건강증진행위를 57.0%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 택시운전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으로 파악된바 택시운전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전략과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문제와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분석방법
  2.6 연구의 제한점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감정노동, 우울,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3.4 대상자의 감정노동, 우울,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서해주 Hae-Joo Suh.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자숙 Ja-Sook Kim.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김자옥 Ja-Ok Kim.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김학선 Hack-Sun Kim.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조인영 In-Young Cho.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숙 Hye-suk Kim. 목포카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