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a behavior improvement of unethical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ethics program in organization. An unethical behavior of information sharing on organization members is to be get to private interests through divulgence of company's confidential information. An unethical information-sharing of individual is the opportunist and selfish behavior for an expansion of social capital and shows a negative ripple effect in organization. When conducting the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order performs the cluster, discrimina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are differences the behavior of unethical information sharing between opportunist and non-opportunist. The opportunist member for unethical behavior improvement required the program operation both value and compliance oriented program. Non-opportunist member required only the value-oriented program. The upcoming research needs to explore both ethics program's frequency and action of a punished person.
한국어
본 연구는 윤리 프로그램이 조직 구성원들의 비윤리적 정보공유 행동을 개선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구성원의 비윤리적 정보공유 행동은 기업의 정보자산을 외부에 누출시키는 개인의 사적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다. 개인의 비윤리적 정보공유는 사회적 자본을 위한 기회주의와 이기적 행동이며, 조직 내부에 부정적 잔물결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방법은 흐름은 군집과 판별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 순서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회주의적 조직 구성원과 비기회주의적 구성원의 비윤리적 정보공유 행동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주의적 조직 구성원 집단은 가치지향과 순응지향 윤리 프로그램 모두 운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 기회주의적 조직 구성원 집단은 가치지향 윤리 프로그램으로도 비윤리 정보공유 행동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는 윤리 프로그램 운영 횟수와 실제 처벌자의 행동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 자본과 비윤리 행동
2.2 잔물결 효과와 윤리 프로그램 운영
3. 연구 방법론
3.1 데이터 수집과 연구방법
3.2 측정 도구 및 조작적 정의
4. 연구 결과
4.1 표본의 특성
4.2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4.3 결과 분석
5. 연구 결론
5.1 연구 결론
5.2 연구 시사점
5.3 향후 연구 방향
ACKNOWLEDG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