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리밟기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원문정보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program research of the Bridge Treading Festival

이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racing of 'Bridge' based on the Archetype of the Bridge, revealing the festival value and characteristics, and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content as a traditional folk art festival. If you step on a bridge on the night of the first day of the New Moon, you will not get sick on your legs for a year, 12 The festival of the New Year holidays played out in the folk belief that if you stepped on the bridge, you will lose 12 months' worth of money. In Seoul, the bridge was very popular with the bridges lying on the Cheonggye stream, such as Guangtong Bridge and Suet Bridge. Before the New Year. It can be seen through the documentary authority of the time that the footsteps spreading afterwards are grand festivals spreading the origins of the whole people. In addition,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rototype of the foot stepping showed spontaneity, communality, magic, playfulness, openness, and communication. In the festival castle of traditional legs, there is a spiri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haring that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think about the various methods of reviving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age and realizing i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ootsteps of the New Year 'The contents of cultural contents are extracted to describe the development plan of cultural contents. A farmer's life of the Korean people Cultural contents that fully utilize the festival characteristics of foot stepping which was power,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stepping stone in the development of our nation, the restoration of the divine name of the nation, the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strata, and social integration.

한국어

본 논문은 다리의 원형성을 바탕으로 ‘다리밟기’의 역사적 배경과 연행양상을 집중 조명하여 축제적 가치와 특성을 밝히고, 전통 민속예 술 축제로서의 콘텐츠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 다리밟기는 정월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으면 한 해 동안 다리(脚)에 병이 나지 않고, 12다리를 밟으면 12달의 액을 면 한다는 민간신앙에서 발생한 정월대보름 민속놀이로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성이 담겨 있다. 서울에서는 다리밟기가 광통교, 수표교 등 청계 천에 놓여 있는 다리를 중심으로 매우 성행하였다. 정월대보름을 전․ 후로 하여 펼쳐지는 다리밟기가 온 백성들의 기원을 담아 펼쳐지는 성대한 축제였다는 것을 당시의 문헌적 전거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리밟기의 문화원형 중 축제적 특성은 자발성과 공동체성, 주술 성, 연희성, 개방성, 소통성 등으로 나타났다. 전통 다리밟기의 축제성에는 현재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공동체의식과 나 눔의 정신이 숨어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통문화의 축제적 특성을 현시대에 맞게 살려내고,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지속 적으로 고민해야만 보다 발전된 축제의 공간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월대보름의 다리밟기가 공동체의식을 고양 시키는 문화콘텐츠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추출하여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농경시대 우리민족의 고단한 삶의 원 동력이었던 다리밟기의 축제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우리민족의 신명을 되찾고 세대와 계층 간의 분열된 간극을 좁히고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있어, 본 연구가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다리밟기의 역사
  2.1. 다리밟기의 유래
  2.2. 시대 별 다리밟기
  2.3. 일제 강점기의 다리밟기
  2.4. 해방 이후의 다리밟기
 3. 다리밟기의 축제적 특성
  3.1. 자발성과 공동체성
  3.2. 주술성
  3.3. 개방성
  3.4. 연희성
  3.5. 소통성
 4. 다리밟기 놀이의 콘텐츠 방안
  4.1. 다리밟기 연행의 문제점
  4.2. 다리밟기의 문화콘텐츠 개발방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호정 Lee, Ho Jeong. 서울특별시 중구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