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산재평가가 감사보고시차 및 재량적 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Asset Revaluation on Audit Report Lag and Management Discretionary Report Lag

배창현, 우용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air value evaluation is adopted over K-IFRS adoption. Especially, fair value evaluation model can be used on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Companies tried to improve financial condition like lowering debt ratio using asset revaluation when asset revaluation was allowed by Asset Revaluation Law during 1958~2000. However, Asset Revaluation Law was abolished after 2000. Asset revaluation was permitted again when K-IFRS was adopted.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analyzes the meaning of asset revaluation to auditor and information users. Many previous studies about asset revaluation suggest that asset revaluation is used as a way to improve financial condition(Song et al., 2011; Chung and Kim, 2015). However, Kim and Woo(2016) insist that asset revaluation relieves information asymmetry. If an executive uses asset revaluation as a way to improve financial condition, auditor would regard asset revaluation as a factor which increases audit risk. Because improvement of financial condition by asset revaluation doesn’t come from business improvement but from revaluation surplus, it is likely for auditor to regard asset revaluation as an executive’s discretionary action and to estimate audit risk high. Thus, audit report lag is likely to become longer. However, if auditor considers that asset revaluation can relieve information asymmetry, auditor would not consider asset revaluation as a factor which increases audit risk and try to provide accounting information to users earlier. Therefore, audit report lag might decreas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vestors consider asset revaluation positively(Kim et al., 2011; Yoo et al., 2012; Yang and Shin, 2013). Because executive prefers disclosing financial statements which include asset revaluation earlier, management discretionary report lag might decrease.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sset revaluation decreases audit report lag. This result suggests that auditor considers that asset revaluation relieve information asymmetry and have an incentive to decrease audit report lag.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sset revaluation and management discretionary report lag. This result means that because auditor reduces audit report lag sufficiently even though asset revaluation relieve information asymmetry, there is no incentive for executive to reduce management discretionary report lag additionally.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about whether auditor regards asset revaluation as a factor of which increases audit risk by examining auditor’s response on asset revalu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about the meaning of asset revaluation by analyzing empirically on how executive behaves after external audit procedure in case of asset revaluation.

한국어

K-IFRS가 도입되면서 공정가치 평가를 전면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유형자산에 대해 공정가치 평가 모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는데, 1958년부터 2000년까지 자산재평가법을 통해 유형자산의 자산재평가가 허용되었을 때에는 기업들이 대체로 자산재평가를 통해 부채비율을 낮추는 등의 재무구조 개선을 시도했었다. 그러다가 한동안 자산재평가가 폐지되었는데 K-IFRS가 도입되면서 유형자산에 대한 자산재평가가 다시 허용되었다. 본 연구는 K-IFRS 도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자산재평가가 감사인 및 정보이용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실증분석한 연구이다. 자산재평가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들은 자산재평가가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수단으로 이용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송기홍 외, 2011; 정영기와 김희성, 2015). 그러나 김옥현과 우용상(2016)은 자산재평가가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만일 경영자가 자산재평가를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수단으로 이용하였다면, 이를 감사인은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높다. 자산재평가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은 기업의 영업활동의 호전으로 인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재평가차액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기 때문에, 감사인은 이를 경영자의 재량적인 행위의 하나로 보아 감사위험을 높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감사보고시차가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자산재평가가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감사인이 자산재평가의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면, 감사인은 자산재평가를 감사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판단하지 않고 오히려 정보의 적시성을 높여 정보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려고 할 유인이 있기 때문에 감사보고시차는 감소할 수도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투자자들은 자산재평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지령 외, 2011; 유영태 외, 2012; 양해면과 신성식, 2013). 이 경우 경영자는 자산재평가 정보가 반영된 재무제표를 정보이용자들에게 빨리 공시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므로, 재량적 보고시차는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산재평가를 실시한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감사보고시차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옥현과 우용상(2016)에서 보고한바와 같이, 자산재평가는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감사인이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감사인은 감사보고시차를 줄여 정보의 적시성을 높이고자 할 유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자산재평가와 재량적 보고시차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자산재평가가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감사인이 감사보고시차를 충분히 줄였기 때문에, 경영자가 추가로 재량적 보고시차를 줄일만한 유인이 없으므로 재량적 보고시차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은 자산재평가에 대한 감사인의 반응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감사인이 자산재평가를 감사위험 증대 요인으로 평가하는지 여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산재평가 의사결정을 한 경영자가 감사종료 후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자산재평가의 의미에 대해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2.1 선행연구
  2.2 가설설정
 Ⅲ. 연구모형과 표본선정
  3.1 연구모형
  3.2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및 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2 회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배창현 Chang-Hyun Bae.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박사후연구원
  • 우용상 Yong-Sang Woo.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부교수, 공인회계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