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lution-focused bibliotherapy program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go-resilience. It's basically meant to lay the coherent and system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group programs geared toward children in want of better ego-resili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A total of 254 students who were in their fourth and fifth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lseo-gu, the city of Daegu, took an ego-resilience test. Subsequently, the children who ranked in the lowest 10 percent were selected, and sixteen children were finally selected from among them after discuss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The finally selected children faced difficulties in their school lives. This researcher talked to their parents over the telephone, and the sixteen children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olution-focused bibliotherapy program turned out to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ego-resili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it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sub factors of ego-resilience.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irst,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bolster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mbining the theories of the solution-focused therapy and bibliotherapy that were easy to apply in school circumstances. Second, the therapeutic power of reading was utilized to help the children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applying what they acquired when they faced any problems in real life. Third, the program was offered for the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need of better ego-resilience, not for every student in a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아탄력성 증진을 필요로 하는 아동을 위한 상담 및 집단프로그램 개발 시에 일관되고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 선정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N초등학교 4, 5학년 254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점수가 낮은 아동 10퍼센트를 일차 선발한 후, 담임교사와의 상의를 거쳐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으로 16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특이점은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학교현장에서 적용하기 용이한 해결중심치료 이론에 독서가 주는 치유력을 접목한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것이다. 또한 대상자 선정에 있어서도 일반 학급단위가 아닌 자아탄력성 증진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선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연구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 분석
Ⅲ.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
1.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2.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와 내용
3. 프로그램에 활용된 도서
4.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 및 도서의 적절성
Ⅳ. 연구결과
1. 해결중심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아탄력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CCQ 자아탄력척도와 자아통제척도의 타당도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2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meaning in Life on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 of searching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네이버 원문 이동
- 3김인수 외(1998), 무엇이 좋아졌습니까?, 동인.
- 4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의 원리와 치료 전략네이버 원문 이동
- 5김춘경 외(2010),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6Theoretical Study on the Bibliotherapy Improving the Mental Health for Children of Divorce네이버 원문 이동
- 7김현희 외(2001), 독서치료, 학지사.
- 8서보업(2011),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송성자(2003), 강점관점과 해결중심치료 접근법을 통합한 가족치료 접근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 사회복지학 7, 100-125.
- 10이영식(2008),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