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전환기 일본의 실학 - 야마가타 반토와 후쿠자와 유키치 -

원문정보

Practical Science at the Turn of the Modern Era in Japan : Bantō Yamagata and Yukichi Fukuzawa

배관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actical science’ in today’s Japan refers to something equivalent to learning or science that can be verified in positivist and rational terms and is useful for actual life. As well known, the protype of this concept of practical science is found in the idea of ‘Science of practicality’ championed by Yukichi Fukuzawa. It was Masao Maruyama who rediscovered Fukuzawa’s idea of practical science, calling it ‘revolutionary turn’. ‘Practical science’ can also provide an important clue to the present study that tries to pay attention to the juncture of time from pre-modern to modern era, when the nature of ‘science’ was about to change fundamentally. This study discusses Bantō Yamagata, a 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pre-modern period. Yume no shiro (“Instead of Dreams”), a book that compiled the knowledge collected in the Kaitokudō in Ōsaka, is regarded as an enlightening publication based upon the idea of practical science. Particularly, enthusiastic support of the heliocentric theory, discussion of atheism and no-ghost theory, and distinction between myth and history are examples that show the perspective of rationalism and positivism. Due to this, Bantō’s idea of practical science is appraised as very close to that of Fukuzawa in the early Meiji Era, and as almost modern in thought. But this study starts its discussion from having a doubt over the positivist nature and rationality of the practical science of Bantō and that of Fukuzawa, which are taken for granted as guaranteeing the ‘pioneering modernity’ of pre-modern learning.

한국어

오늘날 일본에서 ‘실학(實學)’이라고 말할 경우, 그것은 실증적·합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학문 정도의 뜻이다. 이러한 실학 개념의 원형을 제공한 것은 잘 알려진 대로 후쿠자와 유키치가 주창한 ‘실업지학(實業之學)’이다. 그리고 후쿠자와의 실학 개념을 ‘혁명적 전회’라고 높이 평가하며 현대에 재발견한 것은 마루야마 마사오였다. 전근대에서 근대로 ‘학문’ 자체가 본질적으로 전환되는 지점에 주목하고자 하는 본고에서도 ‘실학’은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실학’이라는 개념이 전근대뿐만 아니라 근대, 아니 현대까지도 끊임없이 의미를 재구성하며 사용되고 있는 상황은 동아시아 삼국이 마찬가지인 듯하다. 그렇다고 동아시아 공통의 ‘실학’ 개념을 추출한다거나 일본 실학사의 계보를 구축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은 아니다. 본고는 일본의 근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학문의 방법론이 어떤 면에서 연속되고 혹은 단절되는가 하는 물음을 배경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룰 대상은 근세 후기의 유학자 야마가타 반토이다. 당시 오사카 회덕당의 지식을 집대성한 그의 저술 『꿈 대신에』는 실학적 사고에 기초한 계몽서로 손꼽힌다. 특히 지동설에 대한 적극적 지지, 무신론·무귀론, 신화와 역사의 구별 등의 내용이 합리주의·실증주의의 관철을 보여주는 예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반토의 실학관은 메이지 초기 후쿠자와의 실학관에 매우 근접한, 사실상 근대적 사상에 거의 닿아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반토의 경우는 주자학이 서양의 자연과학과 접하면서 해체되기는커녕 유학의 본질을 더욱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결국 그의 실학은 막번 체제 내에서 현실을 긍정하는 ‘왕도론적 경제론’의 한계로 규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지만 본고의 문제의식은 오히려 반토의 실학과 후쿠자와의 실학을 연장선상에 두고 논할 때 근세 학문의 ‘선진적인 근대성’을 담보하는 것으로 당연하게 전제되는 실증성·합리성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일본어

今日の日本で「実学」というと、それは実証的・合理的に証明することができ、実生活に役立つ学問であるという程度の意味である。こうした実学の概念の原型を与えたのは、周知のように、福沢諭吉の唱えた「實業之學」である。そして、この福沢の実学概念を「革命的転回」として高く評価しながら現代に再発見したのは、丸山眞男であった。前近代から近代へ、「学問」そのものが本質的に転換する時点に注目しようとする本稿においても、「実学」は重要な手がかりになり得ると考えている。「実学」という概念が、前近代のみならず、近現代までも絶えず再構成された意味で用いられている状況は、東アジア三国でほとんど同じであろう。だからといって、東アジア共通の​​「実学」の概念を抽出したり、日本実学史の系譜を構築したりすることが、本稿の目的ではない。 本稿は、近世から近代への移行期に、学問の方法論がいかなる面で連続され、あるいは中断されるか、という問いを背景とする。具体的には取り扱うのは、近世後期の儒学者山片蟠桃である。18世紀の後半、大阪の懐徳堂の知を集大成した彼の著述『夢ノ代』は、一般に実学的思考に基づいた啓発書として挙げられる。とくに地動説に対する積極的な支持、無神論・無鬼論、神話と歴史の区別などの内容は、合理主義・実証主義の貫徹を示す好例に該当する。これにより、蟠桃の実学観は、明治初期における福沢の実学観に非常に近い、事実上、近代的思想にほぼ接している、といった評価を受ける。ただし蟠桃の場合は、朱子学が西洋の自然科学に触れて解体するどころか、儒学の本質を一層強固にする方向に進み、最終的に彼の実学は、幕藩体制の中で現実を肯定する「王道論的経済論」の限界であるとされるのが常である。しかし、本稿の問題意識は、むしろ蟠桃の実学と福沢の実学を延長線上に置いて論じる際、近世学問の「先進的な近代性」を担保するものとして当然のように前提される実証性・合理性に対する疑問から出発している。

목차

<요지>
 I. 머리말
 II. 문학과 과학 : 야마가타 반토의 실학
  (1) 실용의 학문
  (2) 실학적 사고
 III. 과학과 철학 : 후쿠자와 유키치의 실학
  (1) 사이언스로서의 실학
  (2) 분화와 종합
 IV.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배관문 BAE KWANMUN.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HK연구교수, 일본 국학사상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