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후 일본의 사회변동과 전향론

원문정보

Japan's post-war social change and Conversion theory

최종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oughout the height growth appeared to the people buried in the country and domestic peace and national unity of the democratic front and rear elements are made strongly rooted in Japanese society. Past performance and various resistance movements are born became absorbed into the Iranian Civil Society (≒ country) 'peace and prosperity'. As a result, Japan's forward-looking within the structural into the system took place in a civil society is wrong. Then turning back to movements theory go forward as a theory of individual thought and way of life to discuss the consistency of action emerged. You need to in order to get around the attraction of 'peace and prosperity' is civil society that has overcome the abstractness and elitist ideology as the movement of ideas and movements and build a foundation based on the life and living of the people. This arises from the scope of the subject of an individual's life that mat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phenomenal place. Conversion theory developed in his reflexive stance on their war cooperation had a logical relationship that could lead to a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t actions related to liability issues caused in the course of waging war Japan. But the principal to discuss the prospective move to the post-war generation and their eyes were fading colonial rule is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war cooperation in the forward-looking Ron Coupled with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Japanese society.

한국어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국가에 매몰된 국민이 등장하고 국내적 평화와 국민통합이라는 전후 민주주의적 요소가 일본 사회에 강하게 뿌리내렸다. 그리고 과거의 저항운동이 낳은 다양한 성과는 ‘평화와 번영’이란 시민사회(≒국가) 속에 흡수되어버렸다. 그 결과 일본 내에서는 체제내로의 구조적 전향이 시민사회란 틀 속에서 일어났다. 그러자 운동론으로써의 전향론은 물러가고 개인의 사상과 행동의 일치성을 논하는 삶의 방식으로써의 전향론이 대두한다. ‘평화와 번영’이란 시민사회의 흡인력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이데올로기로써의 운동이 가진 추상성과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민중들의 삶과 생활에 토대를 둔 사상과 운동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상의 주체인 개인의 내면과 현상적 삶이 일치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자신들의 전쟁협력에 대한 자기 성찰적 입장에서 전개된 전향론은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여러 행위에 대한 책임문제와 관련된 논의로 이어질 수 있는 논리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전향을 논하는 주체가 전후세대로 이동하고 그들의 시선이 일본사회의 내부적인 문제와 연결되면서 전향론에서 전쟁협력에 대한 책임추궁과 식민지 지배책임은 탈색되었다.

일본어

高度成長期を経て国家に埋葬された国民が登場し、国内的平和と国民統合という戦後民主主義的要素が日本社会に強く根ざしている。 そして過去の抵抗運動が生んださまざまな成果は‘平和と繁栄’という市民社会(≒国家)の中に吸収されてしまった。その結果、日本内では体制内への構造的転向が市民社会という枠組みの中で起きた。すると、運動論としての転向論は退いて個人の思想と行動の一致性について議論する生き方としての転向論が台頭する。 '平和と繁栄'という市民社会の吸引力を勝ち抜くためには、イデオロギーとしての運動が持った抽象性とエリート主義を克服し、民衆の暮らしと生活に基づいた思想と運動を構築する必要がある。これは、思想の主体である個人の内面と生々しい生活が一致する所で発生する 自分たちの戦争協力に対する自己省察的な立場で展開された転向論は、日本が戦争を遂行する過程で起こした様々な行為に対する責任問題と関連した議論につながる論理的関連性を持っていた。しかし、転向を論じる主体が戦後世代に移り、彼らの視線が日本社会の内部的な問題と絡まりつつある中で、転向論から戦争協力に対する責任追及と植民地支配に関する責任は脱色された。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혁명에 대한 기대와 전향론(50년대)
 Ⅲ. 체제 비판 시대와 전향론(60년대)
 Ⅳ. 체제 내화 시대와 전향론(70년대)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최종길 Choi, Jong-Gil.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 일본근현대 사회운동사/사회사상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