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일본인 해외이주의 궤적과 신도(神道)의 역할 - ‘제국의 확장’과 ‘국가정체성 강화’ 간의 괴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trajectory of Japanese emigration and the role of Shinto during the Modern times : Focused on the gap of the Expansion of the Empire and Strengthen National Identity

최경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the role of Shinto and Shinto shrine that followed like a shadow that plays in the trajectory of Japanese emigration. In this paper, I pointed out not just the fact that a Shinto shrine erected, but a Shinto acted as a means of injecting a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notion that national polity under the Imperial system to Japanes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odern nation-state was how to positioned in overseas emigration areas. With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Japanese’s emigration was also expanded in the same trajectory. In keeping Japanese emigrants’ identity and their uniting in the community, a Shinto followed like a shadow from Japan to settlement played a big role. A Shinto became a ‘National Shinto' as a means of founding a national identity under the Imperial system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odern nation-state from natural religion of premodern and Japanese emigrants remained faithful to a ‘National Shinto' ideology in overseas emigration areas. Therefore, there was a gap between on the one hand Japanese emigrant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with the expansion of the empire, but on the other they keep a ‘National Shinto' ideology to reinforce its identity as a nation. This fact was one of the examples that Japanese Empire was seeded in collapse, the root cause of Overseas Shinto’s not transplanting in emigration areas.

한국어

19세기말 일본인이 이주한 해외-조선・대만・관동주・남양군도・만주・중화민국・하와이 등-에는 어김없이 신사(神社)가 건립되었다. “일본인이 가는 곳엔 신사(神社) 있고, 신사(神社) 있는 곳에 일본인이 있다”라는 구절이 있을 만큼 일본인의 해외이주에서 일찍이 종교의 효능을 강조한 의견이 제기되고 수많은 신사가 건립되었는데, 신도(神道)가 일본인의 의식구조를 지배하는 ‘무종교(無宗敎)의 종교(宗敎)’로 일본인의 해외이주에 필연적으로 따라 나간 현실에 비하면 ‘신사’와 ‘신도’가 일본인 이민자 커뮤니티나 해당 이주지역 사회에 뿌리내리지 못한 이유를 규명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략한 듯하다. 본고는 일본인들의 삶에 마치 그림자처럼 따라다닌 신도와 신사가 일본인 해외이민의 궤적 상에서 담당한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단순히 신사가 건립된 사실만이 아니라, 근대 국민국가수립 과정에서 천황제 하의 국체관념에 기반을 둔 국가정체성을 일본인들에게 주입하는 수단으로 작용했던 신도가 해외 이민지에서 어떻게 자리매김 되었는지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일본제국의 확장과 더불어 일본인들의 해외이주도 같은 궤적으로 팽창했다. 이러한 해외이주 일본인들의 정체성 유지와 커뮤니티 내에서의 단결에 큰 역할을 했던 것은 이주하기 전 일본 내지에서부터 그들의 일상 속에 그림자처럼 따라다닌 신도였다. 신도는 근대 이전의 자연종교로부터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 천황제 하의 국가정체성을 정립하는 수단으로서 ‘국가신도화’ 했고, 해외이주 일본인들은 이러한 국가신도 이데올로기를 이주지에서도 유지했다. 따라서 이주자들이 한편으로는 제국의 확장과 함께 국민국가의 경계를 뛰어 넘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국가의 구성원 즉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국가신도 이데올로기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 이는 곧 일본제국이 품고 있었던 파탄의 씨앗 가운데 하나의 사례이자, 해외신도가 이주지에서 뿌리내리지 못한 근본적인 원인이라 하겠다.

일본어

19世紀末日本人が移住した海外-朝鮮・台湾・関東州・南洋諸島・満州・中華民国・ハワイなど-には間違いなく神社が建立された。“日本人の行くところ神社あり,神社の在り処日本人いゐ”と文句があるほど、日本人の海外移住で、かつての宗教の効能を強調した意見が提起されて数多くの神社が建立されたが、この分野を扱う様々な領域の研究状況に照らしてみると、本来神道は無視取り上げられたようだ。神道が日本人の意識構造を支配する「無宗教の宗教」に日本人の海外移住に必然的に応じて出て行った現実に比べれば、「神社」と「神道」が日本人移民コミュニティやその移住地域社会でどのような役割をしたかについての研究は、比較的疏略だということだ。 本稿は、日本人の生活にまるで影のように追いかけて通った神道と神社が日本人の海外移民の軌跡上で担当した役割に注目したい。 単に神社が建立されたという事実だけではなく、近代国民国家樹立の過程で、天皇制下の国体観念に基づいて国家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日本人に注入するための手段として作用していた信徒が、海外移民地でどのように位置づけているかを確認するものである。 日本帝国の拡張に加え、日本人の海外移住も同じ軌跡で膨張した。これらの海外移住の日本人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コミュニティ内での団結に大きな役割を果たしていたのは、マイグレーションする前、日本內地から、彼らの日常の中に影のように追いかけて通った信徒であった​​。 信徒は、近代以前の自然宗教から近代国民国家の形成期に天皇制下の国家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確立するための手段として、「国家神道化」し、海外移住日本人は、これらの国家神道イデオロギーを移行先でも維持した。したがって、移住者たちが、「一方では帝国の拡大に伴い、国民国家の境界を越え超えも」と、「一方では国民国家のメンバー、すなわち国民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強化する国家神道イデオロギーを維持していた」との間に乖離が存在する。これは日本帝国が抱いていた破綻の種子の一つの事例であり、海外信徒が移住地で根づいていない根本的な原因といえ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일본인 있는 곳에 신사(神社) 있고, 신사(神社) 있는 곳에 일본인 있다.”
 Ⅱ. 일본인 해외이주의 궤적과 신도(神道)의 역할
  1. 일본제국의 확장과 국가신도의 확립
  2. 국가신도의 해외 전파: “종교침략” 對 “자율신앙”
 Ⅲ. 해외신사(海外神社)의 설립과 신도(神道)의 굴절
  1. 식민지 : 조선・만주의 사례
  2. 비식민지 : 하와이의 사례
 Ⅳ. 맺음말 : 특수성과 보편성의 갈림길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최경순 Choi, Kyung-Soon. 연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일본 근현대 불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