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近代期의 元曉 再發見者들 - 鄭晄震, 崔南善, 趙明基, 許永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discoverers of Wonhyo in Modern Time : Focused on Chung Hwang-Jin, Choi Nam-Sun, Cho Meong-Ki, Heo Yeong-Ho

근대기의 원효 재발견자들 - 정황진, 최남선, 조명기, 허영호를 중심으로 -

孫知慧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rsons who paid new attention to thought and life of Wonhyo(617-686) at modern time, who was the figure of Silla period, will be introduced and aspect of their ‘Wonhyo rediscovery’ will b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And the back ground they had interested in Won-hyo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Japan at that time and the image of Wonhyo which was pictured in the result of their efforts will be introduced particularly focusing on peoples who experienced the study in Japan. Wonhyo was a person who was widely known in East Asian Buddhism world, and it is well known truth that his work Daeseung-gisin-lonso(大乘起信論疏, Commentary on Awakening of Faith) Geumgang-sammae-gyeongnon(金剛三昧經論, Commentary on Vajrasamādhi Sutra) were widely read also. In spite of that, because Wonhyo didn’t have any activity to form student group or religious organization, the sense of his existence were forgotten a lot passing through Joseon dynasty which had policy of emphasis on Confucianism and restriction on Buddhism. So the images of mysterious monk in building of famous temple story were left and gradually passed down. But entering modern time, this situation was changed. Wonhyo got quick attention from the people and became reevaluated in the background of liberation of Korean Buddhism world from restriction, intercourse with Japanese Buddhism world, competition with Western religion etc. Particularly the recognition of Wonhyo at that time has the aspect related to ‘national existence, matter of national identity’ under the colonial ruling of Japan instead of the aspect of Buddhism doctrine or faith. Wonhyo was called out from the history and interpreted fit for circumstance of the country and Buddhism of the time, and the aspect of it appeared as a symbol of ‘national hero, reformer, founder of Tong-Bulgyo(通佛敎), military monk, patriotic monk, ideologic founder of Buddhism with combined Seon-kyo(禪敎). It means that Wonhyo reappeared as ‘symbol of pride of Korean national philosophy and culture’ rather than a ‘ancient monk who realized Buddhism truth’ from the time point of modern. Related to this fact, this study tried to explain historical background of Wonhyo rediscovery of modern tim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Korea and Japan and intercourse of their Buddhism worlds. This study tried to examination on the background and aspect of Wonhyo rediscovery particularly focusing on Chung Hwang-Jin, Choi Nam-Sun, Cho Meong-Ki, Heo Yeong-Ho. We could read complicated emotions like a kind of resistance to Japan which was appeared as colonization country and seeking for national pride, and longing for Japanese Buddhism world which was rosen as developed Buddhism country at that time etc in other aspect in their Wonhyo understanding. Through this examina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b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the image of a person called Wonhyo was not fixed but read diversely and recreated by the situation of the time, and further more to throw a question what the meaning of Wonhyo is to us in this contemporary time.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근대기에 들어 신라시대의 인물인 元曉(617-686)의 사상과 행적에 새롭게 주목한 인물을 소개하고, 그들의‘원효 재발견’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일본유학을 경험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당시 일본과의 관계를 의식하며 원효에 관심을 쏟게 된 배경, 그리고 그 결과로 그려진 원효상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원효는 동아시아불교계에 널리 알려졌던 인물로, 그의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론』 등이 널리 애독되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효는 문도형성이나 교단조직과 같은 활동을 하지 않았기에, 숭유억불의 조선시대를 지나오며 그 존재감은 많이 잊혀지게 되었다. 점차 名刹 창건 설화속의 신비승의 이미지가 많이 남아 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대를 맞게 되며 상황은 달라진다. 한국불교계의 억불으로부터의 해방, 일본불교계와의 교섭, 서양종교와의 경쟁 등의 배경 속에서 원효는 급격히 주목을 받으며 재평가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당시의 원효인식은 불교교리나 신앙의 측면보다는 일본의 식민지배하에서의 ‘국가존립, 민족 주체성 문제’와 결부된 측면이 크다. 원효는 역사로부터 불려져 나와 당시의 국가와 불교계의 정세에 맞추어 해석되어졌는데, 그 양상은 ‘민족영웅, 개혁가, 통불교의 제창자, 군승, 호국승, 선교융합의 이념적 종조’ 등의 표상으로 나타났다. 즉 원효는 근대를 기점으로 ‘불교의 진리를 체득한 고승’이기 보다는 ‘한국민족사상과 문화의 자부심의 상징’으로서 재등장 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본 고에서는 근대기 원효 재발견의 역사적 배경을 당시의 한일 양국의 관계와 불교계의 교섭을 염두에 두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정황진, 최남선, 조명기, 허영호를 중심으로 각각의 원효 재발견의 배경과 양상에 대해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들의 원효이해에는 식민통치국가로 등장한 일본에 대한 일종의 저항감과 민족적 자부심의 모색, 그 반면 선진불교국으로 선양하고 있는 당시의 일본불교계에 대한 동경 등 복잡한 감정이 얽혀 있음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고찰을 통해 원효라는 한 인물의 이미지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상황에 의해 다양하게 읽혀 왔으며 재창출되었음 인식하고, 나아가 현대에 있어 우리에게 원효가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자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일본어

元暁(617-686)は、新羅に限らず東アジア仏教界の中で大きな存在感を持っていた人物であり、彼の『大乗起信論疏』『金剛三昧経論』などが当時の東アジア仏教界において広く読まれたことは周知のとおりである。ところが、元暁は教団形成などを行わず、門徒も形成されなかったため、崇儒抑仏の朝鮮時代を経る過程で、その存在はさほど重要視されなくなった。 しかし、近代になると、日本仏教界との交渉、西洋の宗教との競争といった背景の中で、元暁は再び脚光を浴び始めるが、それは元暁の仏教教理や信仰の側面よりは、日本植民支配下における国家存立・民族独立の主張と結びついていた。つまり元暁は「近代」を起点として「仏教の真里を体得した高僧」と言うより、「韓国民族思想と文化の自負心の象徴」として再登場したのである。 こうした問題意識から、近代における元暁の再認識・表像化、その歴史的背景を、当時の日韓仏教界の交渉をふまえつつ解明しようとした。元暁の近代的表象は、民族の英雄、仏教改革の模範、通仏教の象徴人物、救国僧、禅教統合曹渓宗の宗祖像として現れるが、本稿では、とりわけ、日本留学生の鄭晄震, 崔南善, 趙明基, 許永鎬を中心に、それぞれの元暁再発見の背景と様相について考察を試みた。彼らの元暁理解には、植民統治国家として登場した日本に対する抵抗感と民俗的自負心の模索、一方、先進仏教国として宣揚している当時の日本仏教界に対する憧れなどの感情が複雑に絡み合っていたことが読みとれる。本稿での考察を通して、元暁という人物のイメージが固定されたものではなく、時代の情況に応じて様々な形で再創出されたことを認識する機会になることを期待したい。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近代 以前과 以後의 元曉認識의 差異와 背景
 Ⅲ. 鄭晄震 : 元曉 遺著의 集成
 Ⅳ. 崔南善 : 通佛敎論의 發端
 Ⅴ. 趙明基 : 和諍-總和思想의 提唱
 Ⅵ. 許永鎬 : 宗團統合과 宗祖論의 提起
 Ⅶ.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孫知慧 손지혜. 日本 大谷大學 文學部 歷史學科. 助敎. 韓日佛敎交涉史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