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이지(明治) 전기 교육사상에 관한 일고찰 - 도덕교육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in Early Meiji Period

이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ay the exaggerated, today to face the problems that abound in Korea and Japan, to explore solution of the litterae humaniores for building the future of symbiotic coexistence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basis of mutual understanding I have to. It has to be priority understanding of what Korea and Japan of the base layer culture than for the sake of this.This is because, I Studies on Modern Education of Japan, is because I believe that provide us with the empirical clues for the entity investigation of thinking system, which has been forming a base layer culture of Japan and later modern. Specifically, common core of education and also say to center th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hile incorporated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until now, by considering the moral education of the Meiji previous fiscal year, of the modern period ordinary Japanese moral Education in the formation of the thought system is intended to clarify the responsible role and educational history of thought significance. Morality Among human continue to the social life, and to determine the right and wrong-right and wrong properly, serve as personal inner principles to properly act, the totality of the various norms that defines a human relationship. Morality, also called are those that must be learned through life, including school and home life, but absolute in moral education in primary education is to form a thought Birdman, including the morality and values of human best to bottom line and time is given 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affect. In such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Japan of moral education in the Meiji previous year, to understand the thinking system of living ordinary Japanese modern, in a small clue to understand the thinking system of Japanese living modern Pull believe that could be.

한국어

본고는 오늘날 한일 양국에 산적해 있는 문제를 직시하고,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일 간의 공존공생의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인문학적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작은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일 양국의 기층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일본의 근대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는 근대 이후 일본의 기층문화를 지탱해온 보통 일본인의 사유체계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실증적 단초를 제공해 주리라 믿는다. 구체적으로는 보통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소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다양한 연구성과를 원용하며 메이지 전기 도덕교육에 대해 조망해 봄으로써 근대기 보통 일본인들의 사유체계 형성에 도덕교육이 담당했던 역할과 의의를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논해 보고자 한다. 도덕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선악(善悪)·정사(正邪)를 바르게 판단하고, 올바른 행실을 하기 위해 인간의 내면적 원리로써 작용하는, 다양한 규범의 총체이다. 도덕은 학교와 가정생활을 포함해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해 학습해야 하는 것이겠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초등교육 과정에서의 도덕교육이 도덕관·가치관을 포함하는 개인의 사유체계 형성에 있어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 초기라 할 수 있는 메이지 전기 도덕교육의 형성과정과 전개양상, 그리고 그 의의를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본고를 통해 근대를 살았던 보통 일본인의 사유체계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일본인의 국가관, 세계관을 이해하는 작은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믿는다.

일본어

本稿の目的は、大げさに言って、今日韓日両国に山積している問題を直視し、相互理解を基に韓日間の共生共存の未来を構築するための人文学的解決方法を模索することにある。これのためには何よりも韓日両国の基層文化に対する理解が優先せねばならない。日本の近代教育に関する研究は、近代以降日本の基層文化を形成してきた思惟体系の実体究明のための実証的な手がかりを提供してくれると信じているからである。具体的には、普通教育の核心とも言える小学校の教育を中心に、今まで蓄積されてきた研究成果を援用しつつ、明治前期の道徳教育を鳥瞰することによって、近代期の普通の日本人の思惟体系の形成に道徳教育が担わされた割や教育思想史的意義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道徳は、人間が社会生活をしていくにおいて、善悪·正邪を正しく判断し、正しく行為するために個人の内面的原理として働く、人間相互の関係を規定する様々な規範の総体である。道徳は、学校や家庭生活を含め、生涯を通して学習せねばならないものであるとも言うが、初等教育における道徳教育が人間の道徳観·価値観を含めた思惟大系を形成するにおいて絶対的な影響を及ぼす一番肝心な時期なのは、二言をまたない。そんな意味において明治前期における日本の道徳教育について考察を試みる本稿は、近代を生きた普通の日本人の思惟体系を理解し、引いては現代を生きる日本人の思惟体系を理解する小さな手がかりになりうると確信する。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국민국가 형성과 도덕교육
 Ⅲ. 학제(學制) 시기의 도덕교육
 Ⅳ. 교육령(敎育令) 시기의 도덕교육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이권희 Lee, Kwon-Hee.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