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울릉도에서 獨島가 보이는 조건 ‘風日淸明’의 해석

원문정보

An Interpretation of ‘風日淸明(Sunny day with winds)’ as weather conditions to view Dokdo from Ulleungdo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이는 조건 ‘풍일청명’의 해석

최재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mainly analyzed ‘Pung Il Chong Myong(風日淸明)’(Sunny day with winds) written in old Korean history and geographic books such as 『Jiriji of Koryesa 高麗史 地理志』(Geographical Appendix to the History of Korea, 1451: Munjong 1)・『Jiriji of Sejong Sillok 世宗實錄 地理志』(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of King Sejong, 1454: Danjong 2)・『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新增東國輿地勝覽』 (Revised Geographical Survey of Korea, 1530: Joongjong 25) as weather conditions to view Dokdo from Ulleungdo. So far, almost all of the interpretations of these words were simply “if it's sunny weather”.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from discussing all the elements of visible conditions of Dokdo from Ulleungdo: ‘風日淸明’ means that Dokdo could be seen anytime from Ulleungdo with two weather conditions satisfied. First, winds must be blowing, consequently clear sea fog appearing year-round off Dokdo. Second, it has to be clear and sunny. Therefore, ‘風日淸明’ is a assertion written on the basis of meteorological knowledge. In a more detailed discussion, ‘風日淸明’ means two weather conditions satisfied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s that Dokdo could not be seen anytime from Ulleungdo with only one condition met. Even though it is clear and sunny, Dokdo could not be seen because of the sea fog around the islets. Thus, ‘風日淸明’ means that Dokdo could be seen anytime from Ulleungdo with two weather conditions satisfied simultaneously. Sunny weather with sweeping sea fog winds would make it possible to view Dokdo from UlleungdoIn spite of these clear meteorological arguments, however, diverse and vague expressions such as ‘windy day with sunny weather’ or ‘always any time’, ‘fall season (September-November) only’ were mixed in many domestic studies on Dokdo. So more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when the interpretation of ‘風日淸明’ is written in the official documents by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etc.

한국어

‘風日淸明’의 뜻은, 바람이 불어서 독도 주변의 해무가 걷힌 맑은 날이라는 조건이 충족되면 언제든지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뜻이다. 그래서 ‘風日淸明’은 기상학적인 상식을 바탕으로 기록한 言明임을 입증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한다면 ‘風日淸明’은 독도 주변에 ‘바람이 불어야’ 하고 동시에 울릉도 및 독도 해역에 ‘날씨가 맑아야’ 한다는 두 조건을 충족시켜야 된다는 말이다. 아무리 울릉도 및 독도 해역이 ‘(날씨가) 맑아도’, ‘해무가 있으면’ 울릉도에서 독도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 해무를 걷히게 하기 위해서는 ‘바람이 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風日淸明’은 ‘바람 불어/불며/부는 날’ + ‘맑으면’이라는 두 조건을 충족시키는 기상학적 함의를 가진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이런 분명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아쉽게도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이는 조건이 ‘바람 부는 날 맑으면’인지, ‘언제든지’인지, ‘가을 철(9월-11월)에만’인지 진술이 혼재하거나 애매함을 드러내고 있다. 홍성근 외 『독도! 울릉도에서 보인다. 그래서 동북아역사재단이나 외무부, 그리고 교육부 등에서 ‘風日淸明’의 해석을 공식적인 문건에 기재할 경우 보다 세심한 주의할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종래의 ‘풍일청명’을 둘러싼 여러 해석들 — 문제의 소재
 Ⅲ. 역사 속의 논증 — 울릉도 및 여타 지역에서 ‘독도를 볼 수 있다’는 기록
 Ⅳ. ‘風日淸明’의 기상학적 재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저자정보

  • 최재목 Choi, Jae Mok. 영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동아시아사상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