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문화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미(美)

일본적 미의 지층과 가와바타 야스나리

원문정보

The Japanese Beauty Stratum and Kawabata Yasunari

조정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awabata Yasunari, the first Japanese to be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received the award in 1969. On the occasion, he delivered a commemorative speech Japan, the Beautiful and Myself: An Introduction (美しい日本の私-その序說) at the Swedish Academy, which was a groundbreaking event that achieved the recognition of “beautiful Japan” worldwide. What is the “beautiful Japan” that Kawabata underlined to such a great extent?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II, he proclaimed to return to the “tradition of Japanese beauty,” “old mountains and streams,” and “ancient Japan” at every occasion. It was a kind of measure available to stitch up and settle the situation after the defeat, in that postwar scars and pains could be patched up as far as a direct link could be built between the “ancient Japan” and “present Japan.” The experience of losing wars was not imprinted on the “ancient Japan.” Accordingly, if the “ancient Japan” that remained a “pure and beautiful time” could be wholly and newly obtained in such a postwar situation, the concept including “Japan,” “Japanese race,” and “Japanese tradition” could be seamlessly resurrected, leaving the war period vacant. On this account, Kawabata highly appreciated the classical literature that is distant from the modern Western literature and emphasized the classical literature’s inherent essence of Japanese beauty. In this context, it may be that Kawabata’s adherence to the “Japanese beauty” after the defeat was an act of active forgetting and reconstructing in relation to the war or defeat. Meanwhile, it is an undeniable truth that the virtual reality and fictional truth in the “beautiful Japan” were gradually pervading the postwar conversation, as Kawabata’s symbolic authority and narrative were introduced. In addition, it is notable that Kawabata’s aesthetic worldview is widely cited in today’s Japanese society as a political rhetoric or ruling strategy. Once invoked in the contexts of globalization or nation-state, the “beautiful Japan” still actively constitutes an emotional community.

한국어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일본 최초의 노벨 문학상을 받은 것은 1968년의 일이다. 당시 가와바타는 스톡 홀름의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아름다운 일본의 나: 그 서설>(美しい日本の私: その序說)이라는 제목 으로 기념 강연을 했는데, 이는 ‘아름다운 일본’이 국내외적으로 승인받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가와바타가 그토록 강조하던 ‘아름다운 일본’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패전 후의 가와바타는 여러 기회를 통해 ‘일본 미의 전통’이나 ‘옛 산하’, ‘고래(古來)의 일본’으로 돌아갈 것을 천명한 바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는 패전 후의 상황을 봉합하고 수습하기 위한 일종의 방편이 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고대 일본’과 ‘현재의 일본’을 직결시키기만 하면 전쟁에 관한 상처와 아픔을 봉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대 일본’에는 패전에 관한 어떠한 역사적 경험도 각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순수하고 아름다운 시간’인 ‘고대 일본’을 패전 후의 상황에서 새롭게 전유할 수 있다 면, 전쟁 기간은 공백으로 처리한 채 ‘일본’ 혹은 ‘일본 민족’, ‘일본의 전통’이라는 관념을 균열 없이 매끈하게 환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가와바타는 서구 근대문학의 자장으로부터 자유로웠던 고전 문학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고, 여기에 일본적 미의 근원이 잠재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 은 의미에서 본다면, 가와바타가 전후에 ‘일본적 미’에 관해 집착한 것은 전쟁, 혹은 패전에 대한 능 동적인 망각과 재건의 행위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전후 일본사회의 보수화라는 토양 위에 노벨 문학상이라는 상징적인 권위와 가와바타의 화법이 더해져, ‘아름다운 일본’이라는 가상의 현실과 허구적 진실이 점차 뿌리를 내리게 되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와 더불어 가와바타의 미적 세계관이 지금의 일본 사회에서 정치적 수사 내지 통치 전략으로 폭넓게 원용되고 있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국민국가라는 자장이나 세계 화 국면 안에서 호출되었던 ‘아름다운 일본’은 여전히 감성적 공동체 구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봉 사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1. ‘아름다운 일본의 나’
 2. 패전과 ‘고래의 일본’ 호출
 3. 일본 근대문학의 폐단: ‘일본적 미’의 결여와 미숙
 4. 전시하의 고전 읽기: 『겐지모노가타리』의 정치학
 5. ‘일본 회귀’라는 이데올로기

저자정보

  • 조정민 CHO Jung M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