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문화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미(美)

보수의 미학 : ‘포스트전후’ 일본 보수주의의 정치미학

원문정보

The Aesthetics of Conservatism in “Post-postwar” Japanese Intellectuals

장인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Japanese conservatives have propagated their conservative opinion through proactive media activities. This paper delves into the traits of the post-Cold War Japanese conservatism by examining the political aesthetics of Nishibe Susumu (1939~ ) and Saeki Keishi (1949~ ), who negate Japan’s postwar system and envision the emergence of the “post-postwar” Japanese society. Grasping their political aesthetics could be accomplished by recognizing their conservative understanding of common sense, social order, and nationstate. In negating Japan’s postwar system, Nishibe and Saeki reveal their romantic feelings and combative spirit, particularly when they discern the Japanese society’s paradoxical situation that is caused by the disjunction between Japanese people’s experience and common sense. Despite their emphasis on the equilibrium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such perspective collapses when they regard social order more highly than individual liberty. Their conceptualization is actually weakened by its own rigid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communal state, redefined by reassessing the meaning of tradition, history, and consciousness— that they endeavor to elevate by recalling Japanese people’s patriotism in past wars. Aspiring to terminate Japan’s postwar system, their view of paradox, equilibrium and communality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at of Fukuda Tsuneari (1912~1994), a famous conservative literary critic who ardently published his conservative opinion in postwar Japan. “Post-postwar” conservatives, mostly social scientist critics, prefer communal life to individual existence, social order to individual freedom, and national experience to personal life. This perspective differs from the attitude of “postwar” conservatives, represented by literary critics. The “post-postwar” conservatives’ effort to overcome modernity seems to be correlated to the weakening of literary criticism in the Japanese intellectual society.

한국어

탈냉전기에 일본 보수주의자들은 활발한 언론활동을 벌이면서 보수적 견해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글은 전후체제를 부정하고 포스트전후를 지향하는 일본 보수주의자들의 사상과 미학을 니시베 스 스무(西部邁)와 사에키 게이시(佐伯啓思)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포스트냉전기 일본에서의 보수미학 은 상식론, 질서론, 국가론에서 포착될 수 있다. 일본 보수주의자들은 상식과 체험에 나타난 역설적 심리에서 낭만적 기분과 투쟁감각을 드러낸다. 그들은 근대적 가치와 전통적 가치 사이의 균형을 모색하는 평형감각을 보이지만, 개인의 자유보다 사 회의 질서를 중시했을 때 평형감각은 붕괴된다. 이들의 평형감각과 질서관은 전통과 역사에 기초한 국 가 표상을 강화하고 전쟁체험을 기억해내 국가의식을 고양하고자 하는 공동성의 미학으로 귀결된다. 전후체제의 종언을 꿈꾸는 보수주의자들의 역설, 균형, 공동성의 미학은 전후체제 형성기에 보 수주의를 정초한 후쿠다 쓰네아리(福田恆存)에 견주어보면 상당히 이질적임이 드러난다. 사회과학 적 비평을 하는 ‘포스트전후’ 보수주의자들은 문예적 비평을 한 ‘전후’ 보수주의자들과 달리 개체적 실존보다는 전체적 실존을, 개인의 자유보다는 사회의 질서를, 개별적 체험보다는 전체적 체험을 중 시하는 보수적 사유를 보인다. ‘포스트전후’ 보수주의자들의 ‘포스트근대’ 지향성은 일본 지식사회에서 문예적 교양이 크게 약해진 것과 관련된다.

목차

1. 머리말: ‘아름다운 나라’
 2. 보수의 정치미학과 ‘포스트전후’
  1) 보수와 정치미학
  2) 전후체제와 보수주의
 3. 상식: 역설의 미학
  1) 상식과 체험
  2) 역설과 낭만적 기분과 투쟁감각
 4. 질서: 균형의 미학
  1) 평형감각
  2) 자유와 질서
 5. 국가: 공동체의 미학
  1) 공동체와 전통
  2) 전쟁체험과 숭고미
 6. 맺음말: 근대의 숙명, 교양의 상실

저자정보

  • 장인성 JANG In Sung.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