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한중록』과 『가게로닛키(蜻蛉日記)』의 ‘회상(回想)’과 ‘상기(想起)’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miniscence’ and the ‘recollection’ in the Women’s Diary Literature of 『Gageronikki』 and 『Han jung rok』

박윤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Japan literature and art, the closest concept to a western autobiography’s first work is 『Gageronikk i(蜻蛉日記)』(974) written by Michisseunanohaha (道綱母, 936?-995). In Korea it’s an 『Han jung rok』(1795-1805) written by Hye kyung gung (Mrs. Hong(惠慶宮洪氏, 1735-1815)). Despite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s and the periods in which each was written 『Gageronikki』 and 『Han jung rok』 have the possibility of transversality, This is written in ‘reminiscence’ of the two noble women’s lives that were surrounded by the political strife of their dynastys. This manuscript has compares the style of the western autobiography’s transversality and transversal features (like sympathy, diversity, collectivity) with that of literary journals and epic literature. Specifically the comparison shows the meaning of the transversal features of the ‘reminiscence’ of 『Gageronikki』 and 『Han jung rok』 which were written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This manuscript is based on interculturalism,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and liquidity of two female writers’ lives and communicability of the two writers. 『Gageronikki』’s writer tried drastically to arouse sympathy and compassion by recording an acute political situation as if she were a character in politics. 『Han jung rok』’s writer did not ‘recollect’ the nature of death of the Prince. This should have belonged to her inner side. She tried to bring ‘reminiscence’ by reinterpreting the past as present to produce a dramatic scene. 『Gageronikki』 and 『Han jung rok』’s purpose was to get sympathy and compassion from readers, not the ‘recollection’ of a historical essence. Readers forget about the essence of history because of the two women’s fluent handwriting. They wrote as if they were one in the film. Readers are moved by reproducing the past through links of the soul, rather than proceeding objectively from historical fact to fact. Like Proust's Madeleine, the two women from dynasties experience very old things a second time as the ‘reminiscence’ occurs. They get away from the chronological time flow as past and present meet. Finally, the two female writer’s narrations help them regain time. They do this as they write their work by ‘reminiscence’. 『Gageronikki』 and 『Han jung rok』 are artworks that expressed remembered past lives by systematic principle in aesthetic form. Also, a common feature of the editing method works to convey their inner stories rather than that of historical facts. This shows the transcultural and transversal characteristic of the two dynasties’ literature. The two women from dynasties look back (‘Anna revolution’ and ‘Imo Incident’), and try desperately to have ‘reminiscence’ to protect themselves, their sons, and their families. 『Gageronikki』 and 『Han jung rok』’s writings heal the memories that could not be healed by ‘reminiscence’.

한국어

일본 문예사에서 서구자서전의 개념에 가장 근접한 최초의 작품으로 미치쓰나노하하 (道綱母, 936?-995년)의 『가게로닛키(蜻蛉日記)』(974년)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혜 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5년)의 『한중록』(1795-1805년)을 들 수 있다. 『가게로닛키』와 『한중록』은 발생시기와 문화 배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왕조의 정쟁 (政爭)을 둘러싼 두 귀족 여성의 삶에 대한 ‘회상(reminiscence)’이라는 점에서 횡단 (transversality) 가능성이 예상된다. 본고는 시공간이 다르게 형성된 『가게로닛키』와 『한중록』의 ‘회상’의 공감대, 다양성, 공동성 등의 횡단적 특성을 파악했다. 두 여성 작가의 삶의 이질성과 유동성을 인식하면서 두 개체 간의 소통가능성(communicability) 을 열어 두고서,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에 기반하여 진행했다. 『가게로닛키』는 긴박한 정국을 일기에 삽입하여 마치 자신이 정계의 한 인물인양 동정과 연민을 사는 연출을 과감하게 시도하고 있다. 『한중록』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해 야 할 세자의 죽음의 본질을 ‘상기’하지 않은 채, 애써 과거를 ‘회상’해 내며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재해석해 내어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가게로닛키』와 『한중록』 은 역사적인 본질을 ‘상기(recollection)’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감성적인 연민과 동정과 공감을 얻어내려 하고 있다. 한편의 드라마처럼 펼쳐진 두 여인의 유려한 필체에 독자들은 잠시 역사의 본질을 잊고 만다. 두 왕조의 여인들은 프루스트의 마들렌 처럼, ‘회상’이 일어나는 순간에 아득한 예전의 것들을 두 번째로 체험하고, 과거와 현재 가 짧은 순간에 합쳐져 연대기적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게 된다. 마침내 두 여성의 일인칭 화자는 ‘회상’을 통해 다시 찾게 된 시간을 장기적으로 고정하고 구체적하여 ‘회 상’에 의해 글쓰기를 한 것이다. 『가게로닛키』와 『한중록』은 회상되는 과거의 삶을 체계 적인 원칙에 의해 미학적인 형식으로 표출한 예술작품이다. 더구나 역사적인 사실보다도 자아의 내면적인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연출한 편집 방법의 공통성은 두 왕조문학의 문화교차적인 횡단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 한일여류일기문학의 횡단 가능성
 Ⅱ. 장르 정의에 대한 ‘회상’
 Ⅲ. 극화(劇化)된 ‘회상’의 역사
 Ⅳ.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호 Park, Yoon-ho. 순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