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숙향전>에 나타난 선계(仙界)의 형상과 작가의식

원문정보

Depictions of a Heavenly World and Consciousness of the Author on “ Sukhyangcheon ”

이상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 Sukhyangcheon ” depicts relatively specifically various enchanted lands such as Huto woman’s Myeongsagye, Xi Wangmu’s Yojiyeon, the Dragon King of the Sea’s, the southern sea palace, the wise kings’ 12 nations, the Isle of Eternal Youth, Cheontaesan Mountain, etc. These enchanted lands are assumed to be depicted based on folk tale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It is hard to find a Korean literary work that has a rich story and depicts the enchanted lands and heavenly existence specifically like “ Sukhyangcheon ”. In this aspect, “ Sukhyangcheon ” could be good material to use to look at the late Joseon people’s ideas and perceptions on the divine existence. This could also identify how the peop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magined and perceived the heavenly world. “ Sukhyangcheon ” sets up the heaven or fairy land as the original world that decides human life and destiny, which shows fatalism. But, we should not assume the writer of this story is a complete fatalist. The heavenly world of “ Sukhyangcheon ” could be also a model of the world orders. These contain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of the era. They also contain the imaginary world in order to reasonably understand groundless painful reality. In addition, “ Sukhyangcheon ” uses a fate-oriented world view called “heavenly destiny” in order to justify the marriage of the youth couple who have a big difference in social status, denying the feudal order of social status while advocating the love of men and women. “ Sukhyangcheon ” describes the ideal world where fantastic scenery and curious things exist. These cannot be seen in the human world. The Taoist hermits in this ideal world live forever and transcend time and space. This scenery reflects the author's desire to enjoy the arts freely in a heavenly world while having eternal life like the Taoist hermits. With an imaginary depiction of the free arts of the heaven and the gods, the author expressed a sad desire to escape from the real world’s conflicts and pains.

한국어

<숙향전>은 <구운몽>,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등과 함께 17세기 말에 창작되었 으며, 고전소설 가운데 가장 널리 애독되었던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오늘날 <숙 향전>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이 작품의 인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편인 데, 이는 그간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고전소설을 조명하려는 경향과 관련되어 있다. <숙 향전>은 환상적ㆍ비현실적 성격이 강한 작품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숙향전>에는 후토부인의 명사계, 서왕모의 요지연, 용왕의 남해용궁, 성황들이 지키 는 열두 나라, 봉래산과 천태산 등 여러 선계가 비교적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들 선계는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설화를 바탕으로 형상되었을 터이지만, 우리 소설 가 운데는 <숙향전>만큼 선계와 신적 존재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형상 화된 작품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런 점에서 <숙향전>은 조선후기 사람들이 선계를 어떻게 상상하고 인식했는가를 파악하고, 나아가 신적 존재들에 대한 조선 후기인들의 관 념과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하겠다. <숙향전>에서 천상 또는 선계는 인간의 삶과 운명을 좌우하는 본원적 세계로 설정되 어 있는데, 여기에는 운명론적 사고가 깃들어 있다. 그러나 이를 근거로 작가가 철저한 운명론자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숙향전>의 선계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상상적 공간이면서 당대인들의 여망이 담긴 세계 질서 의 모형이라는 성격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숙향전>은 천정인연이라는 운명론적 세계관을 활용하여 신분의 차이가 현격한 청춘남녀의 결혼을 정당화함으로써 봉건적 신분질서를 부정하고 남녀의 사랑을 옹호한 효과를 창출하기도 한다. <숙향전>에 나타난 선계는 인간세계에서는 볼 수 없는 환상적인 풍광과 기이한 것들 이 존재하는 이상세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노니는 신선들은 장생불사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것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 속에는 신선 처럼 장생불사하면서 선경과 같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풍류를 즐기고자 하는 작자의 욕망 이 반되어 있다. <숙향전>의 작자는 선계와 신선들의 자유로운 풍류를 상상적으로 형 상화함으로써 현세에서의 갈등과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서글픈 욕망을 표출했던 것이다. <숙향전>은 어떤 고전소설보다도 선계와 신적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하면서도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바, 이 논문을 계기로 <숙향전>의 가치와 의의가 새롭게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계의 형상과 그 특징
 Ⅲ. 선계에 대한 인식과 작가의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구 Lee, Sang-gu. 순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