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 연구

원문정보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이이삭, 이상현, 정재선, 노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bile healthcare apps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not just as software, but also as significant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We examin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factors (e,g., instrumental efficacy, informational efficacy,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playfulness, and responsiveness)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mobile healthcare apps. Based on an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I),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of mobile healthcare app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al efficacy and instrumental efficacy influenced intention to use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Playfulness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responsiveness influence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dopting instrumental, informative perspectives and playfulness in contemporary health research and production of mobile healthcare apps.

한국어

모바일 헬스케어 앱은 기기로서의 특성도 가지지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영역의 관리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 요인으로서 도구적 효능감, 정보적 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유희성과 반응성이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 II)를 바탕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지속사용의도를 설명하는 다양한 외생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적 효능감과 도구적 효능감은 용이성과 유용성을 매개하여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매개하여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지향과 반응성은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구적 관점, 정보적 관점, 유희적 관점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연구 및 제작의 필요성에 대한 접근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확장된 기술수용이론(TAM II)
  2.2 자기효능감
  2.3 유희성
  2.4 건강정보지향
  2.5 반응성
 3. 연구방법
  3.1 자료수집
  3.2 주요변인의 개념 및 측정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잠재요인 타당성 분석
  4.2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4.3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
 5. 결론 및 논의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이삭 Lee-Sac Lee. 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학과
  • 이상현 Sang-Hyun Lee. 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학과
  • 정재선 Jae-Seon Jeong. 한림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소
  • 노기영 Ki-Young Noh. 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애션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