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용석 대금산조 진양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Melodies of Seo Yong-sok Style Daegeum Sanjo: with a Focus on Jinyang Tempo

이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Jinyang(very slow tempo) was analyzed, and mainly the use of Sigimsae was given an in-depth examination. It is commonly known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melodious fluidity with the use of Sigimsae, and it is the very unique characteristic which distinguishes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music. In this research, an in-deth analysis of Jinyang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confirmed this knowledge, and cam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Sigimsae used in Jinyang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kinds: Nongeum, Flowing or dropping, and the others. Second, Nongeum are so various as to include moderate vibration, vibration at the end, clear vibration whose beats can be counted, vibration with a flowing or dropping, high pitching vibration with all openings open, etc. Especially in Gemyeonjo Key more various kinds of Nongeums like Nongeum with a flowing or dropping are used, and note of long tone is vibrated right from the beginning. Third, flowings include a moderate flowing, a short flowing, a long flowing, a flowing over a wide range of notes, etc. In Gemyeonjo Key dropping notes are used and immediate vibrations after dropping are characteristic. Fourth, playing with pitching notes, playing with strong short cuts at the end, and are unique ornaments using Daegeum’s openings are also used. Fifth, Seo Yong-sok style Sanjo Jinyang’s introduction is consisted of Gemyeonjo Key that feels feminine way, but Sigimsae makes it change into a kind of the masculine and grand style which is originally shown in the Ujo of Sanjo. Sanjo was assumed to have appeared before the 19th century when modern music in Western countries approximately had appeared. While the Western modern music was a new style which came out of pursuing new music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Sigimsae seems to be a new style formed in our own way before it was affected by the Western music. Currently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variously trying in pursuit of new style music, faces the practices which limit its effort to get out of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more attention to Sigimsae and its active application might help open a new way for the composition of new Korean music as well as great performance. Sigimsae as a musical technique which complements the plainness of single tunes, lies in the opposite to harmony. Sigimsae and harmony cannot coexist. It can be argued that Korean music pursues Sigimsae, while the Western music pursues harmony.

한국어

본고에서는 서용석류 산조 중 진양을 분석하였는데 주로 시김새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이 시김새의 활용으로 선율적으로 유동성을 띠게 되고, 이 점이 서양음악과 차별화되는 아주 큰 특징이라는 것이 일반적 상식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이번에 서용석류 산조(중 진양)의 심층적인 분석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서용석류 산조 중 진양에서 사용된 시김새는, 장식음을 제외하고, 크게 3부류로 나눌 수 있는 데 그것은 농음, 흘려 내리거나 꺾어서 내기, 그 외의 경우 들이다. 둘째, 농음에 있어서 여러 가지가 나타나는데 그것은 아주 다양하여, 보통 정도로 농음하는 경우, 뒷부분에서 농음하는 경우, 횟수가 파악될 정도의 분명한 농음, 흘려 내리거나 꺾어 내면서 농음하는 경우, 지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치켜 올려 소리 내며 농음하는 경우 등이 있는데, 특히 계면조에서, 흘려 내리며 농음하거나, 꺾어서 농음하는 등 더 많은 종류의 농음이 사용되며, 긴 시가의 음을 처음부터 곧바로 농음하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흘려 내리는 경우는 보통 정도로 흘려 내리기, 짧게 흘려 내리기, 길게 흘려 내리기, 넓은 음역을 흘려 내리기 등이 있으며, 계면조에서는 꺾는 음이 나타나는데 꺾은 다음 바로 농음하는 경우도 있다. 넷째, 그 외의 경우로 음을 끌어 올려서 내는 경우와 뒷부분을 강하게 힘주어 짧게 끊는 경우, 대금의 지공을 이용한 독특한 장식음 등이 활용되고 있다. 다섯 째, 서용석류 산조 진양에서, 우조 도입부의 경우, 음조직은 계면조이나 시김새에 의해 남성적이며 꿋꿋한 우조의 악상이 표현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서용석 산조 진양의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희 Lee, Kyoung-Hei. 청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