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부민요 토리의 재검토-동부민요 하층위 설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examination of eastern folk song tori -Necessity to set the lower category of Menari-tori and proposal-

김영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nari-tori’ is utilized as a term that refers to the tonal systems of folk songs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in the results of scholars’ studies, Menari-tori has been criticized in that it does not clearly display it characteristics by using diverse final note or otherwi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pply the modal theory that uses the constituting tones of the scale and the finalis as discriminating criteria and the tori theory that uses sigimsae, the functions of tones, the weights of tones, and microtones as discriminating criteria to divide tories into those in the upper category and those in the lower category for approaches to tories. First,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the modal theory and the tori theory were examined and the present paper proposed to systematize the theories of tonal systems of Korean folk songs by classifying those tories that are identified by the modal theory into the upper category and those tories that are identified by the tori theory into the lower category. In addition, the present paper also proposed to divide Menari-tori that refers to the tonal system of eastern folk songs into ‘Menari-tori’, which is in the La-plagal mode, and ‘Arari-tori’, which is in the Mi-authentic mode, based on the finalises. Furthermore, the present paper also proposed not to importantly deal with the diverse and complicated tories that can be discriminated by the tori theory such as Eosayong-tori, which is a variant of Arari-tori, but to mainly deal with the tonal system of folk songs based on the modal theory in the elementary/middle school curriculums or opening curriculums of universities.

한국어

‘메나리토리’라는 말은 한반도 동부지방 민요의 음조직을 가리키는 용어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자들의 연구결과에서 메나리토리는 다양한 종지음을 사용하는 등 그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글에서는 한국민요의 음조직을 음계의 구성음과 종지음(주음)을 주된 변별 기준으로 삼는 선법이론만으로 구별되는 것과, 시김새․음기능․음비중․미분음 등을 변별 기준으로 삼는 토리이론을 적용하여야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층위를 나누어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법이론과 토리이론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고, 이어서 선법이론에 의하여 변별되는 토리를 상층위에 두고, 토리이론으로 변별되는 토리를 하층위에 두는 방식으로 한국민요 음조직 이론을 체계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종래에 메나리토리로 불려오던 동부민요 음조직을 그 종지음을 기준으로 La-변격선법인 ‘메나리토리’와 Mi-정격선법인 ‘아라리토리’로 나눌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아라리토리의 변화형인 어사용토리를 비롯하여 토리이론에 의하여 변별될 수 있는 다양하고 섬세한 토리는 초․중등 교육과정이나, 대학의 개설적인 과목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지 않고, 비교적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선법이론에 의한 민요 음조직을 주로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민요 음조직론의 전개 과정
 Ⅲ. 민요 음조직론의 재검토
 Ⅳ. 동부민요 토리 하층위 분류의 필요성과 제안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운 Kim, Young-Woon. 한양대학교 국악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