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rt Therapy Through Modern Art : A Case Study
초록
영어
Art therapy is a method of expression used as a therapeutic technique which projects patients' imagery to the outside of human inner mind through visual exchanges of patients and therapist interaction. Psychoanalytic method, a personal psychotherapy and analytic psychology is examined in the theoretical levels for approaching to this art therapy. Art therapy in practice includes some tools of mind such as: unconsciousness expressions and their procedures, hedonism, objets practices, handplaying etc. bringing from a vast number of modern art. These lead patients to recover himself gradually such as; voluntary imagination, personalization, self expression, hedonist and creative recovery, self confidence etc. This introductive study provided some explication on evaluative and psychotherapy handplaying skills, materials and interventions appropriate to the clients' needs in the art, comprising the H.T.P. which could be used to assess brain damage and general mental functioning. By virtue of being a projective test, the results of the HTP are subjective and open to interpretation by the administrator of the exam. They would use the creative process to help clients increase insight, cope with stress, work through traumatic experiences, increase cognitive, memory and neurosensory abilitie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hieve greater self-fulfillment.
한국어
미술치료는 그림을 매개로 심상의 투사를 통한 비언어적 소통과 억압된 심리를 저항 없이 표출하는 효과가 있다. 미술 활동에서 드러나는 이미지를 통해 대상자와 치료자 사이에 친밀관계를 맺어 통찰과 승화로 자아성장을 이루는 것이 미술치료의 본질이다. 미술치료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정신분석학, 개인심리학, 분석심리학 등 이론적 바탕이 되는 심층심리학을 고찰하였다. 미술치료사는 치료과정에서 인간중심의 격려를 통해 심리적 갈등과 상처를 겪는 대상자에게 치료동맹 관계를 맺게 되고 이는 바로 미술치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미술의 무의식적 표현 또는 과정과 행위의 유희성 그리고 오브제 활용과 수작업 등의 개념과 방식은 자발적 심상표현, 개성화와 자기표현, 유희성과 창조본능, 자존감 획득 등의 미술치료 특성과 부합되어 치료효과가 뛰어난 방법이다. 이 연구는 물질의 변화과정과 다양한 미술 재료의 이해와 함께 수작업의 기능 및 오감의 체험이 가미되고 H.T.P 진단에 이르기까지 통합적 미술치료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내용과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미술치료 개념과 배경
2.2. 미술치료의 특성
2.3. 정신분석과 진단검사
2.4. 미술치료사의 자질과 역할
3. 현대미술의 개념과 활용방법
3.1. 현대미술의 개념
3.2. 현대미술표현 치료 활용방법
4. 현대미술표현치료 분석사례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