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쇄일기』를 통해 본 읍치의 풍경

원문정보

Paysage of Eupchi through the Poswaeilgi

김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포쇄일기(曝曬日記)』는 1871년에 박정양(朴定陽)이 쓴 한글 기행가사(紀行歌辭)이다. 이 때 박정양은 약 40여 일에 걸쳐 총 31개소의 읍치를 방문하였다. 『포쇄일기』에는 박정양이 이동 중에 머물렀던 숙소를 비롯하여, 읍치 바깥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 읍치 안에서 공간을 이용하는 방법과 절차 등의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박정양이 보았던 읍치의 풍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읍치의 “안온(安穩)”한 풍경이다. 박정양은 산으로 둘러싸인 읍치에서 “병풍”과 같이 “장포”되는 “안온”한 풍경을 보았다. 그런데, 읍치 안팎을 연결하는 길가, 바깥으로 물이 흘러나가는 수구는 안온한 읍치에 열림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이런 곳에서는 안온함을 보완하기 위한 인공 숲, 즉 “수(藪)”, “수구막이”를 확인할 수 있다. “대로(大路)”라고 불린 간선도로는 읍치 안을 관통하지 않고 바깥으로 우회하였다. 성곽이 있는 경우에는 읍치 사방에 문을 두었지만, 한 곳의 “정문”을 설정하여 드나듦을 의식적으로 제한하였다. 이는 모두 읍치의 안온함과 관계되는 내용들이다. 다음으로, “인걸지령(人傑地靈)”의 풍경이다. 좋은 조건을 갖춘 터에 잘 포진한 읍치에는 “명기(明氣)”가 가득 차 있다고 했다. 박정양에게 터와 인간은 길흉(吉凶)의 관계로 맺어진 일체로 여겨졌다. 속리산 거북바위, 피장(皮匠) 남매와 산화(山禍) 이야기 등에서 이러한 인걸지령의 풍경을 더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다. 특정한 시대와 장소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환경의 인식과 경험의 방법, 사물을 받아들이는 공통의 기반이 있다. 본 연구는 『포쇄일기』 속에 담겨 있는 그 공통 기반의 일단(一端)을 와쓰지 테쓰로(和汁哲郞)의 풍토론, 오귀스탱 베르크(A. Berque)의 풍경론을 단서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드러난 읍치의 안온한 풍경, 인걸지령의 풍경은 아늑함과 따뜻함, 그리고 신체와 일치된 공간을 추구하는 “둥지의 속성”을 갖고 있다. 이는 곧 “둘러싸인 장소”, “아늑하게 보호된 곳”에 다름 아니다. 풍수의 지형 구도에 엿보이는 “안주의 원리”는 이와 같은 인간의 근원적 풍경을 이루는 심리적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일본어

『曝曬日記』は1871年朴定陽が書いたハングル紀行歌辭である。朴定陽は約40日にわたって總31個所の邑治を訪問した。『曝曬日記』には朴定陽が移動中に泊まった宿所をはじめ、邑治の外から中へ入る過程、邑治の中で空間を利用する方法などの様々な內容が記されている。朴定陽が見た邑治の風景を要約すると次のようである。 まず、「安穩」の風景である。朴定陽は山に囲まれた邑治で「屛風」のように「藏包」されている「安穩」の風景を見ている。ところで、邑治の内外を結ぶ道端、外へ水が流れていく水口は安穩な邑治に開きを要求する。このようなところでは、安穩を補うための人工の森、つまり「藪」「水口マギ」を見ることができる。「大路」と呼ばれていた幹線道路は、邑治の中を貫通せず、外を迂回している。城郭がある場合は、邑治の四面に城門を設けたが、一つの正門を設定して出入りを制限した。これらはすべて邑治の安穩とかかわる内容である。 次は、「人傑地靈」の風景である。良い条件を備えている場所に布陣した邑治には「明氣」が溢れている。朴定陽において場所と人とは、吉凶の関係で結ばれている一體と思われていた。俗離山の龜岩や皮匠兄妹の山禍の話などからは、これらの人傑地靈の風景をより具体的に伺うことができる。 特定の時代と場所に属する人々には、集團的に共有される環境の認識や經驗の方法、すなわち事物を受け入れる共通の基盤がある。本硏究は『曝曬日記』の中に含まれているその共通基盤の一端を、和汁哲郞の風土論、オギュスタンㆍベルクの風景論を手がかりとして解明しようとした。これにより明らかになった安穩の風景、人傑地靈の風景は、小こぢんまりとした暖かさ、身體と一体となる空間を求める「巣」の屬性を持っている。これは「囲まれた場所」「庇護されたところ」を意味しており、風水的地形の構圖に伺える「安住の原理」は、このような根源的風景の心理的根拠となっている。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며
  1. 박정양과 『포쇄일기』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Ⅱ. 안온의 풍경
  1. 산으로 둘러싸인 읍치
  2. 수구와 수구막이
  3. 대로와 읍치
  4. 읍치의 정문
 Ⅲ. 인걸지령의 풍경
  1. 터와 인간의 길흉
  2. 거북바위와 산화
 Ⅳ. 안온의 풍경과 둥지의 건축
  1. 풍토와 풍경
  2. 둥지의 속성
  3. 풍수와 이상향
 Ⅴ. 맺음말
  1. 연구 결과의 요약
  2. 경관에서 풍경으로
 참고문헌
 論文要旨

저자정보

  • 김병주 KIM Byeongju. 경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