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石坡 李昰應의 天機自發的 性靈境의 審美體現 考察

원문정보

Study on Seokpa Lee Ha-Eung’s Embodiment of Cheongijabal(天機自發的) Aesthetic Appreciation for Realm of Exquisite Nature(性靈境)

석파 이하응의 천기자발적 성령경의 심미체현 고찰

김명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on Seokpa(石坡) Lee Ha-Eung(李昰應)’s art theory who was a politician and a calligraphic painter(書畵家) in late Joseon Dynasty. Seokpa’s life was like a drama and in the name of art, he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 drama. Lee Ha-Eung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figure who led a dynasty with negative toughness at an urgent,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of late Joseon. Going through that declining history and political bitter struggles, however, he was an artist who created a number of works, which draws keen attention. Ideals of self-philosophical art is embodied by Seokpa Lee Ha-Eung as aesthetic appreciation (審美) of realm of exquisite nature (性靈境). The aesthetic appreciation of realm of exquisite nature is not its novel, clever form or imitation of Hyobinhakbo (效顰學步, imitating others without judgment of right or wrong) but expression of natural temper through clever thoughts with Cheongi (天機, the secrets of nature) and voluntary (自發的) creation. Thus, Cheongi (天機) is a term which means natural and voluntary inspiration and it is ultimately expressed as a creator’s innovative free and original mind through practical ethics (心學) of Wang Yangming (陽明). Seokpa Lee Ha-Eung is an orthodox Confucian scholar in Joseon. He was initially absorbed in Buddhism but the practical ethics of the Zen sect and Yangming was support in his later years on the inside like water in the valley flowing under thin ice through his complicated life. Seokpa’s Chengi that supported himself is finally expressed as Kaishu painting (眞書畵). Seokpa Lee Ha-Eung’s ‘embodiment of Cheongijabal aesthetic appreciation for realm of exquisite nature’ is what was learned from the way of true nature (眞自然道) implied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shaping for ‘cultivation of exquisite nature (陶冶性靈)’through a chance to be vital again (生機) and; the realm of aesthetic appreciation where artistic atmosphere of true self entering nirvana (眞我的) on Seokpa’s self-complacent calligraphic painting out of the earthly life lies on. It is a way of one's own expression (我法) - a strong, conscious creative soul for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有我) in Seokpa’s artistic creation process with ‘cultivation of exquisite nature.’ This realm of aesthetic appreciation is innovative free and original mind in Seokpa’s art that is oriented towards self-complacency and voluntariness, which is focused on his ‘self (我)’ and the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in Seokpa’s poetry and prose is embodiment of positive aesthetic appreciation for exquisite nature expressed through being voluntarily drawn by Cheongi, something implied in his inner self. Chusa (秋史) acclaimed Seokpa Lee Ha-Eung as ‘one whose Cheongi is pure, beautiful and at the same time, odd.’

한국어

이 논문은 朝鮮朝 末 정치가이자 書畵家였던 石坡 李昰應의 예술론에 관한 글이다. 석파의 人生歷程은 한편의 드라마이며, 그 드라마는 다시 예술이라는 이름을 빌어 세상과 疏通하고자 하였다. 李昰應은 조선조 말이라는 급박한 역사적 전환기에, 한 왕조를 부정적 강인함으로 이끌었던 인물로 더 많이 刻印되어 왔다. 그러나 그 落魄의 역정을 겪으면서, 정치적 擊爭속에서 실로 많은 작품을 창작한 예술가였기에 더욱 주목된다. 其實, 石坡의 삶은 10년간 擊爭의 정치적 行蹟을 제외하면, 自意든 他意든 落魄의 餘情과 隱居的 삶이었고, 그 기간에는 詩 · 書 · 畵로 자신을 털어버렸다. 그는 生을 마감하기 전까지 紀年作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왕실의 종친이었지만 자기철학이 있는 예술가의 삶 또한 소중히 한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자기철학적 예술의 正相은 石坡 李昰應에게서 天機自發的인 性靈境의 審美로서 體現되었다. 이 性靈境의 審美는 단순히 기발한 그 妙相의 構想이 아니며, 效顰學步의 模擬가 아니라, 自然性情의 드러남인 天機적 妙思이며, 自發的 창작이다. 이와 같이 自然 · 自發的인 靈感을 의미하는 天機ㆍ性靈論은, 陽明의 心學으로 창작 주체자의 革新적인 自由獨創精神으로 表出되기에 이른다. 石坡 李昰應은 正統의 조선儒者이다. 본디 佛家에 심취한 석파였지만, 평범하지만은 않은 자신의 人生餘情에서, 살얼음 밑으로 흐르는 계곡물처럼 禪家와 陽明의 心學은, 인생 끝자락에 이른 석파의 內面에서 그를 지탱해주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그를 지탱해주던 석파의 自得的 天機는 비로소 眞書畵로 드러난다. 石坡 李昰應의 ‘天機自發的 性靈境의 審美體現’은, 天地萬物에 內涵 되어 있는 眞自然道를 스승으로 삼고, 生機로써 象形을 ‘陶冶性靈’하며, 塵俗에서 벗어나 自得한 石坡書畵의 眞我的 意境이 펼쳐진 審美境界라고 하겠다. 이는 ‘陶冶性靈’하는 석파 예술의 창작과정에서 有我의 강한 自覺的 창작 정신인 我法인 것이다. 이러한 審美學 境界는 自得과 自發을 지향하는 석파藝術의 革新的인 自由獨創精神으로 석파의 ‘我’에 집약되며, 石坡의 詩文에 관한 ‘有我’는 그의 內面自我에 內涵되어 있는 그 무엇인 天機에 自發的으로 이끌리어 표출된 性靈의 긍정적 審美體現이다. 이러한 석파 이하응을 老傅 秋史는 ‘그 天機가 淸妙하다’고 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天機· 性靈論의 含意와 心學思想의 樣相
  1. 天機· 性靈論의 含意와 心態的展開
  2. 朝鮮朝末의 文藝心態受用實狀
 Ⅲ. 石坡李昰應書畵의 天機自發的性靈境
  1. 石坡書畵의 ‘陶冶性靈’과 張之琬의 ‘詩者陶寫性靈’
  2. 石坡書畵의 ‘我法’과 崔瑆煥의 ‘有我’
  3. 石坡書畵의 性靈은 ‘詩書’에서 구하고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명주 Kim, Myeong-ju.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