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guryo's narrative culture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script relics. Koguryo inherited the tradition of Gojoseon's narrative culture. Considering that Jumong was grown up in Buyeo and moved south with large numbers of the migrants of Buyeo origin, it seemed that there was a reasonable influence by Buyeo's narrative culture. In addition, as Koguryo accepted Han's narrative culture, the narrative culture of the early Koguryo was developed more. The major trend of calligraphy style changes in China since the 4th century when the script relics of Koguryo were intensively discovered was that LiShu style was declined, ZhangCao style was developed to JinCao style and XingShu and KaiShu styles achieved the fundamental completion. At that time, LiShu style was gradually declined, XinLi style was used, XingShu style was developed and the growth of KaiShu style was found in Koguryo and it was known that the extending changes of calligraphy styles had international universality. Koguryo's narrative culture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through immanent development. A variety of accepted narrative culture factors were transformed to fit Koguryo's characteristics, creating unique narrative culture and being embodied in King Gwanggaeto's stele built in 414. This stele was featured by natural stone statue and its calligraphy style was based on Yeaseo, featured by unique style combined with Jeonseo, Haeseo, Haengseo and Choseo styles. Such forms and styles of this stele influenced the surrounding region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ulture of East Asia.
한국어
본 논문은 문헌과 문자 유물을 통해 고구려 시기 書寫文化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고구려는 고조선의 서사문화 전통을 이어받았다. 주몽은 원래 부여에서 성장하였고 상당수 부여계 유민들과 함께 남하한 것으로 보아 부여의 서사문화 영향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漢나라의 서사문화를 받아들여 고구려 초기의 서사문화는 더욱 발전하였다. 고구려 문자 유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4세기 이후 중국에서의 書體 변천의 주된 추세는 隸書가 쇠퇴하고, 章草가 今草로 발전하며, 行書와 楷書가 기본적인 완성을 이루었다. 당시 고구려에서도 隸書가 점차 쇠퇴하고 新隸體가 사용되었으며, 行書가 발전하고, 楷書가 성숙하는 과정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고구려에서 書體 演變이 국제적 보편성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서사문화는 내재적 발전을 통해 고구려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수용된 다양한 서사문화적 요소들은 고구려 특성에 맞게 변용되어 독특한 서사문화를 창조하기에 이르는데 414년에 건립된 廣開土太王碑에 체현되었다. 비의 형태는 自然石柱碑 양식이고, 서체는 예서를 바탕으로 하여 전서․해서․행서․초서의 결구들을 가미된 독특한 서법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비의 양식과 서체를 비롯한 고구려 서사문화는 주변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등 동아시아 서사문화 발전에 공헌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 書寫文化의 형성 배경
Ⅲ. 고구려 文字자료 검토
1. 碑
2. 刻石
3. 金屬器銘
4. 印章
5. 瓦·塼·土器銘
6. 壁畵古墳墨書
Ⅳ. 고구려 시기 書體의 변화와 발전
Ⅴ. 맺음말 : 고구려 書寫文化의 意義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