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 자본, 권력 : 성(sexuality)의 메타신학

원문정보

Sex, Capital, and Power : Meta-Theology on Sexuality

김선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xuality is essential to human beings. Human history began and has been preserved by sexual activities. Sex in a narrow sense satisfies basic desires and pleasure of the creatures, and sexuality in a broad sense related to the family system brings them satisfaction and happiness. However, when sexuality is abused, many problems are to arise. Sexuality concerns not only a person but also a community. How sexuality is treated in the theology? Sexuality is no main topic of interest, compared to other theological subjects. Although biblical studies deal with the issues related to sexuality, they sometimes are very general or limited to very specific problems. The biblical scholars failed to reach agreement. We are not exaggerating to state that the Church does not touch the sexual problems. It seems to place the taboo on this subject. The Bible considers sexuality as a source of happiness and holiness(Gen 2; Lev 18-20) as well as a nest of evil(Deut 22,21), but the Church sometimes shows an ambivalent attitude on sexuality. Christians have a choice of two extremes - indulging secretly in sex or living abstinent live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an Old Testament theology on sexuality in a holistic manner. Sexuality reveals an aspect of the religion of ancient Israel in that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y are closely involved in capital and power through sexuality. Written in an ancient language, the Bible is not an old document that is abrogated today. It can serve as the rules of life. If so, we hav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in order to resolve sexual problems taken place in reality.

한국어

성은 인간에게 본질적이다. 인류 역사는 성행위로 말미암아 시작하고 유지된다. 좁은 뜻의 성(sex)은 사람에게 기본적인 욕망과 쾌락을 만족시켜 주고, 넓은 뜻의 성(sexuality)과 관련된 제도로서의 가족은 사람에게 안전과 행복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성이 잘못 사용될 때에는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성은 개인의 문제일 뿐 아니라 공동체의 문제이며, 인류의 시작에서부터 마지막까지 인간과 함께 한다. 그런데 성에 대한 관심사를 신학에 제한할 때, 과연 어떠한가? 성이 다른 일반 학문 분야에 비해 주된 관심사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 신학을 비롯하여 성서학에서 성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그 연구가 특정 주제에 제한되어 있으며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도 하다. 교회 현장에서는 성의 문제를 거의 다루고 있지 않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이 문제를 다루기 거북스러워하는 듯 보인다. 성경은 성에 대하여 행복과 거룩함의 원천이라고 말하는 동시에(창 2; 레 18-20; 아가) 악의 근원으로도 여긴다(신 22:21). 그런데 교회는 성을 금기시하며, 때로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양 극단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는데, 남몰래 성에 탐닉하거나, 성을 천한 것으로 여겨 금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그것이다. 이 연구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성의 신학을 통전적으로 살펴보려고 시도한다. 성은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데, 개인과 공동체는 성을 통하여 자본과 권력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성경이 고대에만 적용할 수 있는 고착화된 문서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삶의 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 고대 언어로 기록된 성의 프리즘을 통하여 기술된 의도와 함께 성이 가지고 있는 이론과 신학을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고찰함으로써 현실에서 벌어지는 성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목차

1. 머리말
 2. 성의 현실과 윤리
  1) 성과 자본
  2) 성과 권력
  3) 성과 자본과 권력의 유착
 3. 성의 신학
  1) 사람의 성과 하나님의 성, 성의 개인적 차원과 공동체적 차원
  2) 성의 양면성
 4. 맺음말
 5.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종 Sun-Jong Kim. 호남신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