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상후 정체성 변화의 유형 구분 : 심리 증상, 외상 기억 표상과 심리 대처 양상의 차이

원문정보

Distinguishing subtypes in posttraumatic identity change: Differences on psychological symptoms,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and psychological coping strategies

최현정, 이훈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sis on subtypes of identity change after trauma. Based on identity over-accommodation measures and identity disintegration measures, subtypes were divided into the dissociative subtype with both high over-accommodation and disintegration, over-accommodation subtype with only high over-accommodation, trauma-inhibition subtype with only high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subtype neither high on both measures. Data from 271 participants with trauma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the four subtypes, and differences on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mong the subtypes were explored. Dissociative subtype showed high psychological symptoms with dominant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with high levels in all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while over-accommodation subtype was more related to negative appraisals and ruminations about the trauma. Trauma-inhibition subtype was distinguished in psychological symptoms unclearly related to recollections of the trauma material, with high dissociative coping strategies. Integration subtype was related to high contextual memory representations, showing low levels in psychological symptoms,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and in all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Implications for clinical diagnoses and suggestions for treatment according to the subtype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외상후 정체성 변화 유형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외상 재료의 과잉 조절을 반영하는 정체성 과잉조절, 외상 재료의 과잉 동화를 반영하는 정체성 통합결여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두 측정치 모두 높은 해리 유형, 과잉조절만 높은 과잉조절 유형, 통합결여만 높은 외상억제 유형, 그리고 모두 낮은 통합 유형의 네 가지 유형을 구분하여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에 외상을 경험한 271명의 자료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외상 기억 표상, 대처 양상, 그리고 심리 증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해리 유형은 높은 수준의 심리 증상을 보이고, 감각기반 기억이 우세하며, 모든 부적응적 대처 수준이 높았다. 이에 비하여 과잉조절 유형은 외상 관련 부정적 평가가 높았고 반추와 보다 연관되었다. 외상억제 유형은 외상 재료의 회상이 분명하지 않은 심리 증상 및 해리성 대처 양상이 두드러진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통합 유형은 맥락 기억은 높은 동시에, 심리 증상, 감각기반 기억, 그리고 모든 부적응적 대처 양상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 구분에 따른 임상 진단에의 시사점과 유형별 치료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참여자
  도구
  자료 분석
 결과
  외상후 정체성 변화 유형에 따른 차이 비교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현정 Hyunjung Choi. 트라우마치유센터 사람마음
  • 이훈진 Hoon-Jin Lee.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