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ctions of Gaebojang, which has been the basis of the panbon by comparing with the volumes 7, 14, 15, 16, 17, 18, 19, 21, 22, 24, 25, 26, 27 of Gwangmyunghongjib.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ly, it is same like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with the same and corrected condition, but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in Chojojangbon as an original one without any corrections. It is estimated that Chojojangbon included ‘the first Gaebojang’ as it is. Secondly, it is same like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with the same and corrected condition and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in Chojojangbon as a different corrected condition unlike Jaejojangbon․Josungjangbon. It turns out that Chojojangbon got corrections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of Gaebojang’. Thirdly, it is in Jaejojangbon․Josungjangbon as the uncorrected condition and the same like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but it is investigated that it is corrected one in Josungjangbon. It is thought that ‘recorrection of Gaebojang’ was embraced in Josungjangbon. Finally, with the above analyses, the study shows that there were ‘the first Gaebojang’, ‘the correction of Gaebojang’, and ‘the recorrection of Gaebojang’ in the Gaebojangbon of Gwangmyunghongjib. And further, it came out that ‘the first Gaebojang’ was a basis of Chojojangbon and ‘the correction of Gaebojang’ was a basis of Jaejojangbon, and ‘the recorrection of Gaebojang’ was a basis of Josungjangbon.
한국어
본 연구는 광홍명집 제7, 14, 15, 16, 17, 18, 19, 21, 22, 24, 25, 26, 27권의 초조장본․재조장본․조성장본을 대조하여 이들 판본의 바탕이 되었던 개보장본의 수정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조장본․조성장본에는 동일하게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초조장본에는 수정되어 있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초조장본이 ‘개보장 원본’의 상태가 그대로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재조장본․조성장본에는 동일하게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초조장본에는 재조장본․조성장본과 다른 상태로 수정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초조장본이 ‘개보장 원본’을 바탕으로 해서 수정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초조장본․재조장본에는 수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원래의 내용과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조성장본에는 수정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것은 조성장본에는 ‘개보장 재수정본’의 상태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끝으로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광홍명집의 개보장본에는 ‘개보장 원본’, ‘개보장 수정본’, ‘개보장 재수정본’이 있었고, 초조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원본’이고, 재조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수정본’이며, 조성장본의 바탕이 된 것은 ‘개보장 재수정본’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목차
ABSTRACT
1. 서언
2. 開寶藏 廣弘明集의 修訂된 내용 A
3. 開寶藏 廣弘明集의 修訂된 내용 B
4. 開寶藏 廣弘明集의 再修訂된 내용
5. 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