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커뮤니케이션 제시 형태와 클러터 수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s -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Presentation Type and Clutter Level -

이현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ype of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dvertising and publ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advertisements and publicity on the university brand, and clutter level was considered to be more specific.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ctual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is study, 3X2 factors were designed by using communication presentation type (advertisement vs. publicity) and clutter level (high / medium / no). The dependent variables set in this study were university brand awareness, message believability, attitude toward university brand (college interest, university credibility), and intention to search university related information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ertising and publicity in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Although publicit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verall than advertising, their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on clutter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iversity information - related message strategies that can overcome extreme clutter environment are needed rather than considering the type of advertisement or publicity in university brand communication.

한국어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은 크게 광고와 퍼블리시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광고와 퍼블리시티의 효과 차이를 대학 브랜드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클러터 수준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실제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제시 형태(광고 대 퍼블리시티)와 클러터 수준(고/중/무)로 하여 3X2 요인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종속변수는 대학 브랜드 인지도, 메시지 신뢰도, 대학 브랜드에 대한 태도(대학 관심도, 대학 신뢰도), 그리고 향후 대학 관련 정보탐색 의도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통계 방법은 빈도분석과 ANOVA였다. 연구결과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광고와 퍼블리시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퍼블리시티가 광고보다 전반적으로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클러터 수준에 따른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광고 또는 퍼블리시티의 유형 선택에 대한 고려보다는 극심한 클러터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대학 정보 관련 메시지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대학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2.2. 광고와 퍼블리시티 효과 차이
  2.3. 커뮤니케이션 클러터
 3. 연구문제의 설정
 4. 연구 방법
  4.1. 실험설계
  4.2. 실험자극물
  4.3. 실험대상 및 실험절차
  4.4. 종속변수의 측정
 5. 연구결과
  5.1. 연구문제 1의 결과 :
  5.2. 연구문제 2의 결과:
  5.3. 연구문제 3의 결과: 
  5.4. 연구문제 4의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현선 Lee Hyun Seon.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