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Types of Communication Design in Digital Native Advertising
초록
영어
The digital advertisement market is growing in Korea and overseas. Along with that, Native Advertising that is advertisement optimized for digital media such as the web and mobiles is coming to the fore. However, the way of expression or effect measurement is not yet fully known in the market.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design for Native Advertising in order to draw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communication design methodology reflecting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digital Native Advertising. For that, this author has arranged the types of existing Native Advertising and then restructuralized them into three types, the platform (feed or articles), contents (sponsorship or display), and consumer recognition (listicle or action) types. This researcher has analyzed the cases of digital Native Advertising that have been presented on the web or mobiles after 2014 and drawn implications.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for using contents stab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display–type advertisement expressions into visual forms harmoniously organized with exiting contents. Second, to maximize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enhance consumer immersion, it is needed to evolve the sponsorship and action type applying empirical elements. Lastly, considering users’ participative behavior, this author intends to suggest the listicle platform type as a way of cooperation realizing the co-creation of advertisement by interactive contents. This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about communication design methodology for Native Advertising optimized for digital media and also the extension of area that Native Advertising occupies in Korea.
한국어
국내외 디지털 광고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웹·모바일 등의 디지털 매체에 최적화된 광고방식으로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가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표현방법 및 효과측정 등 시장에서의 이해가 미흡한 상태이며,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견인하기 위한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적인 디자인 개발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 광고 유형별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네이티브 광고방식의 유형을 정리하여, 플랫폼(피드형, 기사형), 콘텐츠 형태(스폰서십형, 디스플레이형)와 소비자 인식(리스티클형, 액션형)의 3가지 측면으로 새롭게 구조화 하였고, 2014년 이후 웹·모바일에서 집행된 디지털 네이티브 광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안정적인 콘텐츠 이용을 위해 디스플레이형 방식의 광고표현은 기존 콘텐츠와 조화롭게 구성된 시각적 형태로 개선되어야 하며, 두 번째, 광고 효과의 극대화 및 소비자 몰입을 위해 체험적 요소가 적용된 스폰서십형 및 액션형의 진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참여적 행태를 고려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광고(Interactive Contents Adversing)를 공동창조(Co-Creation)하는 협업방식의 리스티클형 플랫폼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향후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매체에 최적화 된 네이티브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기법의 기초자료로써 제안하고자 하며, 네이티브 광고 방식의 국내 저변 확대를 기대해본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디지털 광고시장 현황 및 전망
2.2. 네이티브 광고 개념 및 특징
3. 디지털 네이티브 광고 유형 분석
3.1. 유형 분석의 기준
3.2. 플랫폼 유형
3.3. 콘텐츠 형태 유형
3.4. 소비자 인식 유형
4. 결론
참고문헌